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Space of Complex Cultural Spac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저자명 신윤선(Shin, Yoonsun) ; 안진근(Ahn, Jinkeun) ; 김주연(Kim, Jooy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7 No.03 (2022-04)
페이지 시작페이지(31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복합문화공간; 도시재생; 공공공간; 유휴공간; 공간특성 // Complex Cultural space; Urban Regeneration; Public Space; Idle Space; Spatial characteristic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쇠퇴로 인해 도시의 곳곳에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건축물와 폐산업시설 등 흉물처럼 남아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이 중요한 사업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중 지역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사업으로 한정하였고,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며 교류의 중심이 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간특성과 공간구성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앞으로 추진될 문화 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문화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공간의 공공공간 특성요소와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공공공간 특성요소 항목은 평가의 항목으로 선정하고, 공간구성 요소는 사례조사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취합된 내용을 분석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결과) 도시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특성은 복합성, 체험성, 접근성, 장소성, 역사성, 심미성, 쾌적성이 도출되었으며, 공간구성 요소는 체험공간, 휴식공간, 상업공간 및 창작·교육공간으로 조사되었다. 각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 공간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으며, 공공공간의 특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 복합성과 역사성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공간에 대한 장소성과 심미성이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체험성과 쾌적성, 접근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공간특성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문화적 관점에서 복합성을 고려한 공공공간 구성이 필요하며 둘째, 재생의 공간이라는 시대적 역사성을 공간에 담아야 하고 셋째, 미학적 요소를 살려 공간의 심미성을 중점으로 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넷째, 지역문화 활성화와 문화적 거점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재생공간의 정체성과 문화적 장소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문화 수준향상을 위한 문화중심의 도시재생 공간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복합문화공간 구축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In Korea,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utilizes the remains of idle land, such as buildings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ve lost their original functions in various parts of the city, due to the reckless development and decline of cities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iz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roject. This study was limited to culturally orien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amo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public spaces in complex cultural spaces most frequently used by visitor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public space when creating a cultural-centered complex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Method) The method identified the concept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and spatial compon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previously derived public space characteristic element items were selected as evaluation items, and the spatial components were used for case studies. Cases for research analysis were limited to the last five years, and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udy. Finally, the content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embodied in an analysis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on urban regeneration and complex cultural spac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were complexity, experientiality, accessibility, placeness, historicity, aesthetic, and comfort, and spatial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as experience spaces, rest areas, commercial spaces, and creative and educational spaces. Analysis of each case revealed the spatial components were well-organized as a whole, and as a result of expert surveys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complexity and historicity were commonly found to be the highest. Placeness and aesthetics for space were evaluated as the second highest, followed by experientiality, comfort, and accessibility. (Conclusions) When creating a complex cultural space centered on culture, the following spat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public space.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public space considering complexit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Second, to incorporate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times of space. Third, to construct a space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space. Fourth, to revitalize local culture and become a cultural bas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cultural-centered urban regeneration spaces to revitalize complex cultural spaces and improve the cultural level of local residents and expects them to be useful basic data when constructing complex cultural spac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나선영(Sunyoung R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도심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채승현(Chae, Seunghyun) ; 김주연(Kim, Jooyun) ; 임선희(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5 (202008)
근대 건축의 가치를 반영한 리노베이션과 보존에 관한 연구
최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1(통권 102호) (201402)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린(Soolin Park) ; 이정교(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6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