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언택트(Untact) 시대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사용 변화에 관한 연구 -2015년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84㎡ 단위세대 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Use of Unit Housing Floor Plan in the Untact Era - A case of 84m2 unit plan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fter 2015-
저자명 임슬기(Lim, Seulgi) ; 김용성(Kim, Yongseong) ; 송석재(Song, Seokja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8 (2021-12)
페이지 시작페이지(73)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공동주택; 단위세대평면; 언택트(Untact)시대; 생활행위; 공간사용변화 // Apartment houses; Unit floor space; Untact era; Living behavior; Change in space us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초 발생한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으로 사회적, 도시적, 건축적으로 다양한 변화가 생겼으며 주거생활양식 또한 크게 달라졌다. 본 연구는 언택트(Untact) 시대의 주거생활양식 변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언택트 시대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단위세대 평면 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 변화의 배경에 대한 관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의 방향을 수립했고, 단위세대 평면 유형을 기반으로 언택트 시대 주거생활변화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84㎡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구성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6개년 동안의 경기도 공공임대주택 전용면적 84㎡ 단위세대 평면 36개 유형을 선정해 공간구성을 기준으로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평면 공간 구성 변화를 파악했다. 또한 언택트 시대의 주거 생활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새로운 주거 공간의 역할 요소를 도출했고, 단위세대 평면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단위세대 내 주요 생활공간인 ‘거실’, ‘침실’, ‘주방/식당’, ‘발코니’, ‘알파룸’에서의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생활행위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결과) 언택트 시대에 변화된 주거생활행위를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별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거 공간 역할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전통적 기능인‘거실-휴식’, ‘침실-취침’, ‘발코니-세탁 및 건조’, ‘주방/식당-요리/식사’, ‘알파룸-수납’에 대한 사용은 전부 감소된 수치를 보인 반면 모든 생활공간에서 ‘업무/공부 공간’으로써의 역할이 증가했으며 그 중 ‘거실’, ‘주방/식당’, ‘알파룸’에서 증가율이 크게 나타나 현재 주거생활양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증가한 주거 기능인 ‘업무/공부’역할에 대응할 수 있는 84㎡ 단위세대 평면을 살펴본 결과, 여유 공간으로 제공되는 알파룸의 위치를 기준으로 4가지 유형이 도출되어 알파룸 유형을 중심으로 공간 구성 방향을 제안한다. (결론) 향후 언택트 시대의 거주자 니즈 트렌드에 대응 가능한 84㎡ 단위세대 평면 공간 구성에 대해 공간사용변화 분석과 그에 따른 평면 유형 도출을 통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변화된 행위 및 공간 사용을 반영한 공동주택 84㎡ 단위세대 평면 설계의 기초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global paradigm that occurred in early 2020 has caused social, urban, and architectural changes, and residential lifestyles have also changed significantly. This study thu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a unit-generation flat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onsumers in the Untact era as an alternative to changes in residential lifestyles. In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analysis considering theoretically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the floor plan of the unit generation of apartments, and to analyze changes in residential life in the Untact era based on the type of unit floor plan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pace composition of the 84 m2 unit plan in the future. (Method) Thirty-six types of households units of 84 m2 used as for public rental houses in Gyeonggi Province over the period of 6 years were selected to identify changes in floor space composi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seven types based on space composition. In addition, the role elements of the new residential space were derived through consideration of changes in residential life in the Untact era, an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lane type of the unit generation, a survey on changes in living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of 2019 (COVID-19) in the living room 'bedroom, kitchen / restaurant, v, and alpha room were conducted. (Results) According to a survey analysis based on residential space role factors that can meet user needs to identify residential living activities changed in the Untact era by space of each unit household, the use of traditional functions such as "living and rest,” "room-sleep,” "balconey, washing and drying,” and "kitchen/restaurant/cooking/distake" have all decreased, while the role of "work/study space" in all living spac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proving that the current residential lifestyle is changing. Thus, after looking at the plane of 84 m2 units that can respond to the role of “work/study,” a newly increased residential function, four types were deriv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lpha room provided as a free space, suggesting the direction of space composition centered on the alpha room type. (Conclusions) In the future, for the 84 m2 unit flat space 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the trend of residents' needs in the Untact era,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through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use of space and the inference of the resulting plane type was presented. The study aimed to utilize basic data on the plane design of 84 m2 unit housing, reflecting the changed behavior and the use of space in the post-COVID era.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Theme & Issue]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
모정현 - 주거(한국주거학회지) : Vol.15 No.1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주거기능 변화와 공간선호- 에코부머 세대를 위한 평면제안 -
이도윤(Doyun Lee) ; 권오정(Oh-Jung Kwon) ; 김진영(Jinyoung Kim)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3 No.2 (202204)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공간인식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발코니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정준우(Jung, Junwoo) ; 서동연(Seo, Don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7 No.05 (20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