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요양병원 대기공간의 유형에 따른 공간위계 분석 기초연구 / A Basic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Hierarchy according to the Type of Waiting Rooms in Nursing Hospital
저자명 이현민(Lee, Hyunmin) ; 이행우(Lee, Heangw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8 (2021-12)
페이지 시작페이지(191)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요양병원; 대기공간; 공간위상도; 공간구문론; 공간위계 // Geriatric Hospital; Waiting Room; Justified graph; Space syntax; Spatial hierarch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인구의 급증은 이미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그중 심각한 수준인 노인 의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요양병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요양병원의 양적인 증대에 대비하여 국내 요양병원의 질적인 수준은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다. 최근 요양병원은 대형화 및 전문화되고 있는 추세로 진료부의 대기공간 또한 2개소 이상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면밀한 검토없이 적용된 다수의 대기공간은 노인들에게 혼돈과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기공간 유형에 따른 공간위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요양병원 설계시 기초자료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기공간과 공간위계분석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한 뒤, 공간위상도 및 공간구문론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중앙형 및 분산형 타입의 대기공간에 대한 공간구조와 접근성, 인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0년 이후 개원하여 현재까지 운영중인 요양병원으로 대기공간 유형별 2개소의 요양병원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요양병원의 외래부와 중앙진료부를 포함하고 있는 층으로 국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대기공간 유형을 중앙 집중형, 중앙 분산형 및 편재 분산형으로 구분하며, 이를 분류하는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2) 요양병원의 대기공간은 공간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잡목형 및 고리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분산형의 대기공간이 적용된 요양병원은 중앙형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공간깊이(depth)를 보인다. 3) 중앙형 대기공간이 적용된 요양병원은 Tree형으로 나타나며, 분산형은 Ring형의 구조를 보인다. 4) 대기공간은 연결도와 통제도가 높아 혼잡이 예상되며, 접수부는 Ring형 구조의 요양병원에서 통제도가 높게 분석되어 유리하다. 5) 요양병원에서 공간인지는 중앙형이 유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최근 요양병원은 대형화, 세분화되는 추세여서 편재 분산형이 적절한 타입으로 도출된다.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 대기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나, 공간의 크기 및 거리를 반영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제한적 연구이다. 이에 이러한 부분을 개선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number of nursing hospitals for the elderly has been on the rise owing to the rapid global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numbers, the quality of medical care in such hospitals in Korea is lower than that in advanced countries.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have two or more patient waiting areas as elderly nursing hospitals grow in size and become more specialized. However, having multiple waiting areas without thorough spatial consideration can cause confusion and inconvenience to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patial hierarchy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waiting area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signing elderly nursing hospitals in the future. (Method) After conducting a theoretical review of spatial hierarchy analysis methodologies, including J-graphs and space syntax, and waiting space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the spatial structure, accessibility, and recognition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waiting areas were analyzed using J-graphs first and space syntax next. The analysis targets were elderly nursing hospitals in Korea that have opened since 2000 and are still operating. Two hospitals were selected for each spatial type of waiting area. The analysis was limited to specific floors, including the outpatient and central medical departments of these hospitals. (Results) The analytical results deri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presents quantitative criteria and classifies the waiting areas of elderly nursing hospitals into centralized, centralized-but-distributed, and distributed types. (2) The waiting spaces were in the form of small bushes and shallow rings with relatively small spatial depths, and hospitals with distributed waiting areas had relatively high spatial depths compared to centralized waiting areas. (3) Elderly nursing hospitals with centralized waiting areas had tree types, and the distributed areas had ring-type structures. (4) The waiting areas were expected to be crowded because of their high connectivity and control, and the reception areas were advantageous because their control was high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with ring-type structures. (5) Centralized waiting areas have advantages in spatial recognition, but recently, distributed areas have become more appropriate as elderly nursing hospitals grow in size and become more subdivided.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stablished basic data for designing waiting area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however, it did not reflect the size and distance of each space. Therefore, follow-up studies should include these aspects to improve the resul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요양병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김정훈 ; 윤동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4권 1호 (202205)
환자 안전을 고려한 노인요양병원 실내건축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전수경(Chun, Soo-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2 (202112)
노인요양병원 병동부 동선구조에 따른 위계분석 연구
허유희(Heo, Youhee) ; 이행우(Lee, Heangw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5 (202108)
[특집] 병원 설계 동향
조준영(Cho, Jun-you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6 (201706)
[논문]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동선분리를 고려한 평면계획 연구
김중기(Kim, Joong-gi) ; 서현보(Seo, Hyun-Bo)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6 No.1(통권 78호) (202003)
배회행위를 지원하는 치유를 위한 노인요양병원 보행환경 평가 및 개선안 연구
전수경(Chun, Soo-Kyung) ; 김수란(Kim, Soo-R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5 (202205)
[논문] 감염예방을 위한 응급실 환자분류공간 국내외 시설기준 분석연구
김중기(Kim, Joong-gi) ; 서현보(Seo, Hyun-Bo)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2 No.4(통권 65호) (2016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자연을 담은 노인요양원 : 요양 환경의 개선을 위한 건축 외부 공간 설계
육허정일 ; 이현진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34호(v.18 n.1) (2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