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Smart Mobility Interior Space
저자명 송규호(Song, Kyuh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8 (2021-12)
페이지 시작페이지(303)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스마트 모빌리티; 자율주행;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4차산업혁명; 근미래 자동차 // Smart mobility; Autonomous driving; Smart mobility interior spac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ar future automobile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에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이 점점 고도화되어 미국 SAE 기준 자율주행 단계인 ‘완전 자율주행’의 시대가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Lee, & Ban, 2020)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의 실내 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연구에서 지칭하는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는 친환경적인 전기를 동력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의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일반화된 시대를 말한다. 근미래에는 모빌리티가 더 이상 이동수단의 기능에만 머물지 않을 것이며, 사람들은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의 실내 공간 변화를 예측하여 정리해보고 우리 사회에서 모빌리티 실내 공간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관련기사, 포털사이트, 통계청, 교육청, 문부과학성 자료 등을 바탕으로 자동차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될 것인지 분석, 예측한다. 설문조사, 인뎁스 인터뷰, 아이데이션 워크숍 등의 방법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결과)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편안한 휴식 및 여가활동, 개인 업무에 최적화 된 비즈니스 활동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크게 이 두 분류에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가 결합되어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으로 이어져야 한다.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좌석 시트는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사용자의 동선 및 공간의 사용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모빌리티 실내 공간의 연결성과 확장성에 대해 인지하고 모빌리티 공간을 이동만을 위한 공간이 생활 공간으로 재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이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정의를 하고 모빌리티 실내 공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사용자 기반을 중심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며, 단순 이동수단이 아닌 인간의 생활 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 변화의 가장 중심에는 운전대가 없어진 실내 공간이 될 것이다. 자동차 안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액션 콘텐츠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이어 향후 스마트 모빌리티에서 사용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가구 시스템 뿐 만 아니라 모빌리티 스토어 및 모빌리티 오피스 등 다양한 영역의 모빌리티 생활 공간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요약2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With smart mobility technology expected to advance further in the near term, and the era of “completely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US SAE standard, approaching (Lee, & Ban, 2020),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the design direc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in line with the smart mobility era. The “smart mobility era” refers to a period in which vehicles are capable of fully autonomous driving powered by eco-friendly electricity, transforming into a generalized transportation system. Mobility will no longer be limited to the function of transportation, and will start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inside the automobil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inside space of smart mobility in the future, and examine the meaning of mobility space in our society. (Method) This study analyzes and predicts the direction in which automobiles are expected to develop, based on related articles, portal site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the upcoming mobility industry.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idea workshops, meaningful insights are derived, which can be used for smart mobility space design. (Result) It is predict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smart mobility will develop into a comfortable space for resting and leisure, and a personal work space optimized for business activity. For these two purposes, various services should be combined which leads to a natural user experience. The seating arrangements will move flexibly, but it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user scenario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e mobility interior space, the seats occupy most of the space and take up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user’s movement and space. Recognizing the connectivity and scalability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the space for transporting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living space. (Conclusion) This study defined smart mobility and studi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obility space while the advancement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s developing at a rapid pace. The smart mobility spac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user and recognized as a living space rather than just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iggest change is expected to be the interior space without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various activities available in the vehicle, the interior space of smart mobility should be a flexible and expandable space.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not only to a new furniture system used in smart mobility, but also to a new space such as mobility stores and mobility offic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미래 도시의 어반 모빌리티 플랫폼 : 사용자 공간 경험의 전환
함남혁; 김주형; 김재준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현대 도시건축에 나타나는 모빌리티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정혜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7호 (201908)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자율주행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도시의 미래
안진호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자율주행과 UAM이 가져올 미래 인프라 변화
박혜성; 최민지; 김태경; 정광회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와 플랫폼의 진화 방향
이근형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스마트 모빌리티 허브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연구 - 종로 일대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주재린; 최준혁; 김세훈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2204)
모빌리티 시티와 연결되는 Flexible Space 사례 :지속가능한 도시, 슈퍼블록 + 주택구입부담
맹민정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