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 전통목조건축물 대공과 동자주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에 관한 기능주의적 접근 / Functionalist Approach on Typology and Historical Changes of ‘Daegong’ and ‘Dongjajoo’ in Traditional Korean Roof Frame Structures
저자명 김다은(Kim, Da Eun) ; 전봉희(Jeon, BongHe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7 (2022-07)
페이지 시작페이지(183) 총페이지(11)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주제어 전통목조건축; 대공; 동자주; 상부가구
요약1 이 연구는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대공과 동자주의 유형을 분류하고, 시대적 변천과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공과 동자주는 전통목조건축의 상부가구에서 수직하중을 받는 수직부재이며, 일반적으로 대공은 종도리 하부, 동자주는 중도리 하부에 사용되는 것으로 위치에 의해 구분된다. 두 부재는 지붕가구의 수직부재라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각각의 기능에서는 미묘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연구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 184동에 사용된 194건의 대공, 203건의 동자주 사례와 영건의궤의 기록을 참고로 하여, 이들 부재가 수행해야 하는 구조적 기능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들이 각각 어떤 구성요소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나누어진 각 유형의 시대적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이들 부재가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거쳐왔는지 살펴보고, 중국, 일본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 요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ology and historical changes of Daegong(臺工) and Dongjajoo(童子柱) from a functionalist perspective.
Daegong and Dongjajoo are structural members retaining vertical load in traditional Korean roof frame structures. These two structural
members are mostly defined by their locations; Daegong is considered as a vertical member under top-purlin, whereas Dongjajoo is used
under mid-purlins. While they have similarities as vertical load bearing members, there are subtle distinctions in their functions. The structural
roles and components of these members were analyzed by reviewing historical documents and case studies of 194 Daegongs and 203
Dongjajoos from 184 buildings. The structural members with those of similar functions from traditional Chinese and Japanese architecture
were compared.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unction and composition of these two members had changed over time, and such
chang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oof frame structures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숭례문 복원의 한계와 보존철학의 부재
노형석(Roh, Hyug-Suk)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705)
수치분석을 통한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과 단면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도경(Kim, Do-K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5 (201405)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논문] 귀고주방식의 조영전통과 의미
홍병화 ; 이은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3(통권 70호) (2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