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팬데믹 시대 재택근무 지원을 위한 가변형 주택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of Variable Housing for Supporting Working from Home in the Pandemic
저자명 양현정(Yang, Hyeon-jeong) ; 김수암(Kim, Soo-Am) ; 정준수(Chung, Joon-Soo) ; 이현수(Lee, Hyun-So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8 (2022-08)
페이지 시작페이지(3)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팬데믹; 가변형 주택; 공동주택; 스마트 월; 재택근무 // Pandemic; Variable Housing; Apartment Housing; Smart Wall; working from home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내 가족구성원의 재택근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수시 가변형 독립 공간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반영한 주거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1) 재택근무를 위한 주거 공간의 문제점 분석 및 요구사항을 도출하였고 2) 수시 가변형 재택근무 공간 구현을 위한 스마트 월(smart wall)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3) 다양한 방식으로 가변되는 스마트 월을 활용하여 가변공간을 설계했다.
요약2 Working from home is increasing worldwid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sudden telecommuting environment in existing
residential spaces has caused a lot of inconvenience. This study deals with the variable system and space developed to support working from
home in existing resid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secure a flexible independent working from home space at any
time, and to design a housing model using smart wall system. To achieve this, 1) Problem analyzed and requirements were derived of
residential spaces for working from home, 2) A smart wall system was built for the realization of a flexible teleworking space at any time,
and a plan was sought for its utilization. 3) A variable space was designed using a smart wall that varies in various ways. The smart wall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system that secures variable performance, IoT communication easiness, and information display performance while
including furniture and devices so that a telecommuting space can be newly constructed. By using this, it was designed on a basic floor plan
of an apartment of 84㎡, the size of a national house, and 5 ways to use it were derived, designed and simulated based on the scenarios for
each space.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various variable spaces, it has implications that the variable space of a columnar structure should
be a base struc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팬데믹 이후 공동주택의 건축계획적 접근 전략 연구
신두식(Shin, Doosik) ; 이명식(Lee, Myung-Sik) ; 유용현(Yu, Yo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4 (202204)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생들의 가구 선호에 관한 연구
조현경(Hyun-Kyung Jo) ; 서지은(Ji-Eun Seo)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2 No.1 (20210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거공간의 재구성
전권식(Chun, Kown-Sig);이명식(Lee, Myung-sik)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8호 (20220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주거기능 변화와 공간선호- 에코부머 세대를 위한 평면제안 -
이도윤(Doyun Lee) ; 권오정(Oh-Jung Kwon) ; 김진영(Jinyoung Kim)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3 No.2 (202204)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조상규;김영현;남성우;김신성 - AURI BRIEF : No. 225 (20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