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건축물 시설안전대응 통합관리체계 구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ng on the Necessity of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Facility Management Utilizing Digital Twin Technology
저자명 염상국(Yum, Sang-Guk) ; 박영준(Park, Young-Jun)
발행사 대한토목학회
수록사항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2 n.5 (2022-10)
페이지 시작페이지(711) 총페이지(11)
ISSN 10156348
주제분류 /
주제어 디지털트윈; 디지털 전환; 건축물 시설안전대응; 지속발전가능성
요약1 2019년 발생한 코로나라는 팬데믹 영향의 장기화로 인해 사람들 간 접촉을 하지 않고도 생활이 가능한 비대면 활동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우리 사회는 본격적인 언택트(untact)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언택트 시대는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산업사회를 디지털화로 재편하는 거대한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심의 핵심기술에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지털트윈은 4차 산업혁명에 접목되고 있는 다양한 기술력을 융합하여 현실세계를 가상의 디지털 세계에 그대로 재현해내는 기술로, 다양한 산업 공정 전반에 관여하여 산업 사회에서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트윈이 갖는 구조적 한계 및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동 기술은 모든 산업 제반에 걸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는 않다. 특히 건축 및 시설물 분야는 일상에서 건물의 주기적 관리가 요구되고 재난 발생 시 인명피해와도 직결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디지털트윈의 접목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고 있는 분야지만 현실적으로 직면한 사항들이 디지털트윈의 적용에 있어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건축물 시설안전대응분야에서 디지털트윈 기술의 적용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로 인해 창출 가능한 기대효과를 기술함으로 디지털트윈의 적극적 활용을 강조한다. 더불어 디지털트윈이 현재 직면한 문제를 극복하고 향후 지속발전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여 디지털트윈의 수요 창출을 견인하도록 연계짓는다
요약2 Due to a long-term pandemic of COVID-19 since 2019, our society finally goes into ‘un-tact (non-contact) era’ in earnest by increasing an importance of non-contacted activities which are able to live without contacts among people. Un-tact era has influenced to generate a huge structural change with digitalization in our daily life as well as industrial society based on digital twin as an essential technology. As a technology representing real world in virtual digital world by integrating various technologies applied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win leads an innovation in industrial society with diverse industrial processes. But this technique isn’t actively used across all industries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and environmental restrictions of digital twin. Especially,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facility is necessary to use digital twin because it requires periodic managements of buildings in daily life and is directly connected with casualties in cases of disaster. But issues faced in reality are acting as an obstacle for applying digital tw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applying digital twin in facility safety response based on these issues and emphasizes active applications of digital twin by describing the expected effects being created. Furthermore, it connects to create demands of digital twin by overcoming current issues and suggesting high sustainable development
소장처 대한토목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한 BIM 기술 활용 사례
최창호 ; 이민형 ; 이용하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ol.14 No.4 (202010)
공공시설 디자인에 있어 디지털 트윈 적용 방안
이양숙(Lee, Yangsook) ; 최익서(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7 No.01 (202202)
보 구조물에서 변형률 계측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트윈 모델 구현
한만석(Han, Man-Seok); 신수봉(Shin, Soo-Bong); 문태욱(Moon, Tae-Uk); 김다운(Kim, Da-Un); 이종한(Lee, Jong-Han) - 한국BIM학회 논문집 : Vol.9 No.3 (201909)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시변화와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도시계획모델
조준혁(Jo, Joon Hyok) - 도시부동산연구 : Vol.9 No.3 (201812)
건물의 3차원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기술소개
양창윤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ol.14 No.4 (202010)
건물에너지 최적제어를 위한 실내온도 분포 예측 모델
권오익(Oh Ik Kwon) ; 김영일(Young Il Kim) ; 김선혜(Sean Hay Kim) - 설비공학논문집 : Vol.33 No.3 (202103)
디지털 트윈에 기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 최적화 연구
문재상(Moon, Jae Sang) ; 박현욱(Park, Hyunwook) ; 김진영(Kim, Jin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5 (202305)
건물에너지시스템의 디지털 트윈을 위한 실물센서와 가상센서의 지속적인 동시보정 방법
구자범;윤성민 -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