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스마트교육이 도입된 초등학교의 메이커 스페이스 분석 / An Analysis of Maker Space in Elementary School with Smart Education
저자명 전지현(Jeon, Jihyun) ; 김영현(Kim, Younghyun) ; 유준아(Yu, Junah) ; 황연숙(Hwang, Yeonsook)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7 No.05 (2022-08)
페이지 시작페이지(183)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미래학교; 초등학교; 스마트교육; 메이커교육; 메이커 스페이스 // Future School; Elementary School; Smart Education; Maker Education; Maker Spa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미래 산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재 양성을 위해 스마트교육 환경이 강조되고 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이 시행되는 시점에서 스마트교육이 도입된 창의, 인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이 도입된 메이커 스페이스의 공간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내에서 스마트교육이 시행되고,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이 구축된 사례 중, 5년 이내에 리모델링 된 5곳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스마트교육 및 메이커 스페이스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스마트교육에 필요한 기자재 및 시스템에 대해 파악한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 분석표를 작성하고 분석표를 기준으로 5곳의 현장을 답사하여 공간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 5곳을 분석한 결과, A사례의 경우, 애플의 기자재와 시스템을 지원받은 공간으로, 1개의 교실공간을 리모델링하였다. MDM 프로그램을 통해 디바이스를 유용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B, C사례의 경우, 삼성의 기자재와 시스템을 지원받은 공간으로 각 2개, 1.5개 교실을 병합하여 리모델링하였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수납 가구를 구성하여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D사례의 경우, 서부 교육청의 지원을 받았고, 1개의 교실공간을 리모델링 하였다. 전시와 놀이 벽면을 구성하였고, 유리를 설치하여 개방감을 높였다. E사례의 경우, 강동 송파 교육청의 지원을 받았고, 2개 교실공간을 병합하여 리모델링 하였다. 교실 중심부의 벽면을 구축하여 학습 공간과 결과물 공유 공간을 분리하였다. 스마트 환경은 무선AP 설치, 미러링 시스템, 기자재 설치로 5곳의 사례 모두 동일하고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론) 메이커 스페이스는 별도의 실 구성없이, 학습공간을 중심으로 전시영역, 커뮤니티 영역, 기기 영역들로 구성되었다. 메이커 스페이스의 교실공간은 형태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과 벽, 가구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와 학생간의 소통과 협업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모색할 수 있는 창의적인 학습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공간이 구성되어야 하며, 스마트교육이 사용자들에게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 도입과 지속적인 공간연구가 필요하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s a strategy to respond to future industries, the smart education environment is being emphasized for nurturing talented people. At the time when the Greensmart Future School project is implemented, research on maker space, which introduced smart education,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ker space which smart education is applied. (Method) As a method of this study,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and maker space a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quipment and systems necessary for smart education are identified. A spatial analysis table is crea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the space is analyzed by visiting 5 sites based on the analysis tabl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5 cases, in case A, one classroom space was remodeled as a space supported by Apple's equipment and system. There w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fully manage devices through MDM programs. In the case of B and C, two and 1.5 classrooms were merged and remodeled into spaces supported by Samsung's equipment and system. By organizing storage furniture with various function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share ideas. In case D, it was supported by the Western Office of Education, and one classroom space was remodeled. The exhibition and play walls were composed, and glass was installed to enhance the sense of openness. The installation of the beam projector using the floor maximized the efficient use of the classroom space by extending the function of the wall to the floor. In case E, it was supported by the Gang-dong & Song-pa Office of Education, and the two classroom spaces were merged and remodeled. A wall in the center of the classroom was constructed to separate the learning space and the result sharing space. (Conclusions) The size of the classroom space of the maker space is configured differently for each elementary school, and for a comfortable classroom environment, two module sizes are recommended. The maker space was composed of an exhibition area, a community area, and a device area centered on the learning space without a separate room configuration. Since the classroom space of the maker space is limited in shape, it should be designed to combine various functions through floors, walls, and furniture, and built as a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define and explore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bove all, a safe space should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user characteristics, and manual introduction and continuous space research are needed so that smart education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for user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김민경(Kim, Min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11 (2022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미래학교 특성으로 본 초등학교 공간 재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미래학교와 오픈스쿨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이상협;이선영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44호(v.22 n.2) (202212)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박병준(Park, Byoungjoon) ; 조택연(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4 (202106)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위한 건축기획 개선방안 연구
조시은; 백선경; 방재성; 고인룡; 이상민 - 연구보고서(정책) : 2021 No.04 (202112)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