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인식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발코니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 of Apartment Balcony with the Change of Residents’Attitude
저자명 정준우(Jung, Junwoo) ; 서동연(Seo, Dongyeo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7 No.05 (2022-08)
페이지 시작페이지(307)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Covid 19; 주거트렌드; 사적외부공간; 아파트역사; 공간디자인 // Covid 19; Residential Trend; Private Outer Space; APT History; Space Desig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팬데믹 이후 주거공간의 의미와 트렌드는 급변하게 되었다. 주거 공간은 기존의 역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이뤄지던 업무나 학업, 여가활동과 같은 새로운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었고 현재는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새로운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발코니 공간은 타인과 격리되어 외부를 대체할 수 있는 사적외부공간으로서 관심이 늘고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의 획일화된 공동주택 발코니 공간이 앞으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발코니 공간계획의 기초연구로서 시작하게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공동주택 주택유형 중 절반 이상인 아파트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첫째, 발코니 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 아파트가 도입된 1960년대부터 시대별로 단위세대 평면과 발코니를 정리하고 국내 발코니 공간계획 관련 제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코로나 이후에 급변한 최근 주거공간 트렌드와 발코니 공간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최근 공동주택의 발코니 공간계획을 파악한다. 셋째, 발코니 공간에 특화한 공동주택 사례를 알아보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주목받았던 해외의 발코니 공간 사례와 관련 제도를 분석한다. (결과) 선행연구와 국내 발코니 관련 제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주거평면에서 Bay수가 늘어나는 트렌드를 보였다. 같은 면적에서 Bay수가 늘어남에 따라 줄어든 각 실 면적은 2005년 합법화 된 발코니 확장법을 활용해 회복되고 발코니는 유명무실한 공간으로 남는 실태이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발코니 공간은 홈카페, 홈캠핑, 식물재배 등 보다 다양한 활동의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제도적 한계와 부동산 시장에서의 경제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대부분의 아파트 발코니 폭은 1.5m라는 최소한의 좁은 공간규모를 가져 위의 새로운 활동들에는 부적합하였다. 또한 발코니 확장을 기본 전제로 생각하는 대중인식과 건물외벽에 함입되는 획일화된 형태의 발코니로 인해 현재 국내에선 아파트 발코니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결론) 발코니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인식과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발코니 공간에 대한 제도적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공간계획에 한계를 야기하는 국민주택규모 제도와 2005년 이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지 못한 현 발코니 관련 제도의 검토와 개정을 통해 다양한 발코니 공간계획에 대한 가능성을 여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 형태, 위치, 개방감을 가진 발코니 공간이 개발되고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새로운 발코니 계획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meaning and trend of residential space have changed rapidly since the COVID-19. Residential spaces have come to play new roles such as work, study, and leisure activities that used to be done outside, and are now responding to these changes centered on interiors. The balcony space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as a private exterior space that can be used in isolation from others by replacing the outside. Therefore, this study began as a basic study of the balcony space plan to respond to future changes in the uniform balcony space of apartment houses. (Method) This study surveyed apartments that were more than half of the types of apartments in Korea.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first, from the 1960s when apartments were introduc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balcony space planning, the unit generation plane and balcony were organized by era and analyzed the domestic balcony space planning system. Second, it analyzes the recent housing trends that have changed rapidly since COVID-19, and identifies the recent balcony space utilization status and balcony space plans in recent apartment housing cases. Third, it examines the cases of apartment houses specialized in the current balcony space and analyzes the cases of overseas balcony spaces and related systems that have attracted attention since the COVID-19. (Results) As a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and domestic balcony-related systems,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balcony space has been insufficient since 2005, and balcony space is being used to recover each room area reduc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bays. However, after the COVID-19, the domestic balcony space is trying to be used as a space for more diverse activities such as home cafes and plant cultivation, but due to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economic factors in the real estate market, most apartment balconies have a minimum space of 1.5m.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utilize the balcony space of apartments in Korea due to the uniform balcony space plan embedd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public perception that the balcony expansion is the basic premise. (Conclusion)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residents' perception and demand for balcony spaces, institutional changes in balcony spaces are urgently needed. The possibility for various balcony space plans should be opened through institutional reviews and revisions related to the national housing scale system, which causes limitations in spatial planning, and balconies that have not changed since 2005.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balcony spaces with various sizes, shapes, locations, and feelings of openness will be developed and used as basic research for directional research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공동주택 발코니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심상일(Sim, Sang-il) ; 박미진(Park, Mi-jin) -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 Vol.19 No.2(통권 제52호) (202106)
언택트(Untact) 시대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사용 변화에 관한 연구 -2015년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84㎡ 단위세대 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임슬기(Lim, Seulgi) ; 김용성(Kim, Yongseong) ; 송석재(Song, Seokj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8 (20211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조상규;김영현;남성우;김신성 - AURI BRIEF : No. 225 (20210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외부 발코니 활성화 방안
조상규 ; 김영현 ; 남성우 ; 김신성 - 연구보고서(정책) : 2020 No.06 (20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