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칼 융의 개성화와 소비트렌드를 고려한 상업공간의 포스트 코로나 디자인 전략 / A Study on the Post-Corona Design Strategy of Commercial Space Considering C.G.Jung’s Individuation Theory and Consumption Trends
저자명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31 No.5(통권 154호) (2022-10)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8)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코로나19; 소비트렌드; 융; 개성화; 상업공간 // COVID-19; Consumption Trend; Carl Gustav Jung; Individuation; Commercial Space
요약2 The functions and roles of commercial spaces are diversifying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in consumption trends after Corona 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pace use after COVID-19. The consumption trend in 2020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ccording to the four concepts of personalization: Persona, Shadow, Anima?Animus, and Self. In the cas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pace that meet the consumption trend rearranged with the basic concept of personalization were analyzed as a shared space, a themed space, a genderless space, and an upcycling spac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fter COVID-19, offline commercial spaces are designed to focus on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s. In the offline commercial space, consumers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events. This activates an interaction modulated by COVID-19.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all commercial spaces as a ‘third place’ was confirmed. However, a change in perception of space is necessary because genderless space is still vulnerable to accessibility. Commercial space in the post-corona era must satisfy its role as a ‘third place’ that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groups.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우울증상 치유를 위한 실내 휴게공간 환경색채모델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6(통권 131호) (201812)
어린이전문병원 대기공간 실내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3(통권 140호) (202006)
어린이환자의 공간사용 행태에 관한 연구
최인영 ; 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6(통권 107호) (201412)
어린이전문병원 대기공간 디자인을 위한 유아 놀이행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4(통권 141호) (202008)
고령자의 우울 특성에 따른 배색의 심리적·생리적 반응 차이에 관한 연구
박선민(Park, Sun-Min)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5(통권 130호) (201810)
행동·감정체계 유형에 따른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특성 및 실내공간 색채감정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
중국 대학도서관 비형식 학습공간의 연대별 변화에 관한 연구
이연진(Li, Yan-Zhen) ; 한정원(Han, Jeong-Wo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2(통권 139호) (202004)
한국과 중국의 상업시설 유형별 계획특성 비교
모열진; 이도영; 김수정; 한정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1권 2호 (201911)
주거공간의 색채계획에 대한 노인거주자의 심리·생리 반응
박선민(Park, Sunmin)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8 No.2(통권 133호) (20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