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 Elementary School Reconstruction Design for Embodiment of Green-Smart Future 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저자명 김민경(Kim, Minky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11 (2022-11)
페이지 시작페이지(187)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창의적 요소; 교육환경; 초등학교 // Green Smart Future School; Creative Key Elements; Educational Environment; Elementary School
요약1 본 연구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설계지침에 대한 학술적 분석과 정책적 지향점, 최근 국내외에서 논의되는 미래교육 환경에 대한 다양한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에 대한 창의적 해석과 비판적 적용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통상, 설계공모 실무에서도 프로그램 분석을 위해 관련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이 필수적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건축적 제안을 도출하는 방식에서 교육적, 사회적, 정책적 사안을 보다 면밀히 살피고 비판적 분석의 과정에서 도출된 고려요소를 설계에 적용함으로써 설계정합성을 준수하고 실행가능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하는 설계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창의성 공간조성의 요건은 융통성과 연결성, 개방성과 투명성, 다양성과 규모, 놀이와 자극, 자연성, 편안함과 안전, 다목적성의 일곱 요소로 본 계획안의 배치, 평면, 단면, 형태에서 다양한 레이어로 적용되었다. 자연으로서 운동장과 빛과 바람, 풍경으로서의 자연을 교실과 공용공간에서 최대한 가깝게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실로 구획되지 않은 열린 공간을 교실들 사이에 크게 배치하여 언제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 학교사용자와 커뮤니티의 마음속에 학교가 지역의 중심적인 장소로 기억될 것을 목표로 하여 본 계획안을 진행하였다.
요약2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started as a core policy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transform an old school building into an
integrated future school with an educational environment, learning methods, and curriculum. A common characteristic of many schools shown
in the preceding analysis is the priority consideration for securing the southern classroom. As a result, schools still had a monotonous spatial
composition consisting of only classrooms and corridors, and students' space use and access were limited as the classrooms were separated
into common, multi-purpose open spaces. The school is summarized as an innovative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space, a learning method
that emphasizes smart and green, a school that contributes to the local community and safe schools. This project will be an opportunity to
transform many old schools that were rigidly and uniformly plan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design into an environment optimized for the
future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key elements of future schools and suggested 12 elements through research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on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are effective for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and learning, and considere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s the key elements of this pla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위한 건축기획 개선방안 연구
조시은; 백선경; 방재성; 고인룡; 이상민 - 연구보고서(정책) : 2021 No.04 (20211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통한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 및 공간계획요소 방향 도출
이정원(Lee, J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박병준(Park, Byoungjoon) ; 조택연(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4 (202106)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미래교육에 대응하는 초등학교 단위학습공간에 관한 연구
임기택(Lim, Ki-Taek) ; 윤동식(Yoon, Dong-Si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6(통권 149호) (20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