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중층 및 고층 목조 건축물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유형 분석 / Classification of Hybrid System Types of Mid and High-rise Timber Buildings
저자명 김윤미(Kim, Yoon-Mi) ; 김영민(Kim, Yeong-Mi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11 (2022-11)
페이지 시작페이지(339)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구조 / 재료
주제어 하이브리드 시스템; 목구조 시스템; 중층 및 고층 목조 건축물 // Hybrid System; Timber Structural System; Mid and High-rise Timber Buildings
요약1 본 연구에서는 목조 건축물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합성 및 조합방식에 따라 부재 차원(1차원), 서브시스템 차원(2차원) 및 구조시스템 차원(3차원)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부재 차원은 단일 부재가 목재를 포함한 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조합된 경우이고, 서브시스템 차원은 여러 재료의 부재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구성한 경우이며, 구조시스템 차원은 여러 개의 서브 구조시스템이 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구조시스템을 구성한 경우이다. 44개의 중층 및 고층 목조 건축물에 대하여 세 가지 하이브리드 유형의 적용 경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부재차원보다는 서브시스템 및 구조시스템 차원의 하이브리드 경향이 더 높았으며, 고층화될수록 구조시스템 차원의 하이브리드 경향이 더 높았다. 구조재료의 조합 경향은 목재와 콘크리트의 조합이 가장 높았고, 목재와 콘크리트 및 강재의 조합은 그 절반 정도였다. 고층화될수록 목재와 콘크리트 및 강재를 모두 조합하는 비율이 더 높아 다양한 재료의 조합으로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약2 The hybrid systems of timber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omposite and combination types: member level,
sub-system level, and structural system level. The member level hybrid system is achieved when more than two structural materials including
timber are composed to make a single member. A sub-system level hybrid system is achieved when various material types of structural
members are mixed to make a single sub-structure. And a structural system level hybrid system is achieved when several sub-systems are
combined to make a complete structural system. There were 44 cases of mid and high-rise timber buildings analyzed according to these three
hybrid types. Sub-system and structural system level hybrid systems showed more application ratios than the member level hybrid system. As
a building becomes taller, the system level hybrid system showed more application ratio. The combination tendency of the structural material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timber and concrete showed the highest application ratio, and that the timber, concrete, and steel showed half
of that. As the building becomes taller, the combination of timber, concrete, and steel showed more application ratio to achieve more
structural performanc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Hybrid형 합성 목구조 골조 시스템과 합성 부재의 구조 성능
어수일(Eo, Soo-il) ; 김윤일(Kim, Yoon-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2 No.06 (201606)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회귀분석을 이용한 전통목구조의 고유주기 산정식 제안
안치우(Ahn, Chi-Woo) ; 이민위(Lee, Min-Wi) ; 김영민(Kim, Ye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12 (202212)
전통목구조 프레임의 수평내력 모델의 평가
이영욱 ; 황종국 ; 황재승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5 n.06 (통권58호) (201312)
중목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유형별 수평 거동 성능 분석
권용현(Gwon, Yong-Hyeon) ; 오상훈(Oh, Sang-Hoon) ; 양원직(Yang, Won-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가진 크기에 따른 동적응답특성 평가
이슬기(Lee, Seul-Gi) ; 김영민(Kim, Yeong-Min) ; 노지은(Roh, Ji-Eun) ; 이상현(Lee, Sang-Hyun) ; 우성식(Woo, Sung-S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9 n.1 (201301)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