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도서관 내 열람공간의 개방성 연구 / A Study on the Openness of Reading Space in the Public Libraries
저자명 정태권(Jeong, Tae-Kwon) ; 서현(Seo, Hy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12 (2022-12)
페이지 시작페이지(55) 총페이지(9)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공공도서관; 복합화; 열람공간; 열람실; 개방성; 공간위상도Public Libraries; Complexation; Reading Space; Reading Room; Openness; Justified Graph
요약1 본 연구는 열린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개방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장소적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공간이 아닌 사람들을 모으고 연결하는 사회적 기능을 위한 복합공간이 되었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이 복잡해지고 이용자의 중심의 공간이 되면서, 열람 방법이 다양해지고 이를 위한 다양한 열람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용자 중심의 공공도서관의 열람공간을 분석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열린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도서관 열람 공간의 개방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인 공공도서관의 자료요청과 전수조사를 통해 도면을 포함한 공간자료를 확보하였다. 공간분석지표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여 전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역할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열람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공간위상도(J-Graph)’를 작성하여 공간적 깊이와 접근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공간분석으로 산출된 결과값을 연대순으로 살펴보면서 공공도서에서 제공하는 열람공간의 이용행태와 다른 내부 시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data to judge the openness of the public libraries as open places according to their place meaning. Today,
as public libraries overcome their place limitations through various media, it has become a complex space for a social function that gathers
and connects people, not just a place to acquire knowledge. As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ies become complex and space
focusing user, the reading methods are diversified, and various reading space for this are appearing. Therefore, as public libraries’ programs
become more diverse, this study analyzes the reading space of user-centred public libraries and aims to examine public libraries as open
places through objective data. To analyze the degree of openness of the reading space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obtained spatial data
including drawings through the survey and data requests of the public libraries as subjects of the study.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analysis indicators of spatial,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relationship of the entire public libraries’ space and analyzes the
spatial depth and spatial accessibility by drawing a ‘Justified-Graph’ to objectively analyze the reading space of public librarie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by analyzing the user behavior of the reading space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internal
facilities by examining the results calculated by spatial analysis in chronological order.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최근 국내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오(Kim, Hyeon-Oh) ; 김용승(Kim, 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2 (2020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배동식(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논문] 존 헤이덕 건축에서의 시선과 응시
이종건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3(통권 43호) (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