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의 사례 분석을 통한 체험 특성 연구 -콘텐츠 체험, 콘텐츠 개발, 체험 운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Aanalysis of Simultaneous Multi-User Access in Ultra-Realistic Metaverse
저자명 최지용(Choi, Jiyong) ; 한정엽(Han, Jungyeob) ; 이하은(Lee, Hae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7 No.08 (2022-12)
페이지 시작페이지(403)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 콘텐츠 체험; 콘텐츠 개발; 체험 운영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 VR기기의 등장에 따라 체험자가 홀로 즐길 수 있는 VR콘텐츠 산업이 성장하였으며, 최근 메타버스라는 시대의 키워드와 융합되면서 발전 형태의 방향이 네트워크가 결합된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따라 미술관, 박물관, 과학관 등에서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 콘텐츠 및 체험시설의 수요 또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미성숙과 현실적 운영 등의 문제에 대한 콘텐츠 체험, 개발, 운영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여 현재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 체험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 공간에서 다인이 동시에 초실감 메타버스 체험을 진행하는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체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으로 각 사례의 유형을 분류할 수있는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대표사례 분석틀을 수립하여 사례분석 연구를 진행한다. 분석 범위는 콘텐츠 체험, 콘텐츠 개발, 체험 운영을 중심으로 한정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 체험의 콘텐츠체험, 콘텐츠개발, 체험운영 부분에 상호 차이가 두드러진 대표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3가지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 특성을 도출하였다. 콘텐츠체험 특성은 접속된 가상공간에서 상호인지와 체험자 간 상호작용이 포함된다면 방향감각과 위치감각을 쉽게상실할 정도로 가상공간에서 느끼는 사회적 현존감이 높다는 것이다. 콘텐츠 개발 특성은 체험자의 안전을 위해 참여한 체험자들의 아바타가 부여가 필요로 된다는 점이다. 마지막 체험운영에 대한 특성으로는 구축된 시설장소의 이동과 확장이 크기에 구애를 받지 않기에 장소 확장성이 높다는 점이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체험, 콘텐츠개발, 체험운영을 중심으로 다인 동시초실감 메타버스의 체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체험자들의 아바타가 콘텐츠 내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기획하는 방향에 대한 필요성과 위치 추적 콘텐츠의 아바타를 표기할 필요성, 장소확장성 이외의 대표 특성들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여 다인 동시 초실감 메타버스가 가진 체험특성의 가치를 배가시킨다.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논문]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공공영역 구성에 관한 고찰
김주성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사례연구를 통한 메타버스 건축디자인에 대한 고찰
이지헌(Rhee, Jee Heon) ; 차승현(Cha, Seung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7 (202207)
렌조 피아노 미술관 건축에 나타난 장소의 맥락 연계 방법과 유형에 관한 연구
우은영(Woo, Eun-Young) ; 김종진(Kim, Jong-Ji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8 No.6(통권 137호) (201912)
국립과천과학관 공간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최정우; 윤철재; 문서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7호 (20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