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선후기 이후 흙벽 벽체 외엮기 구성방식과 시기별 변화과정 고찰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ll and the Changing Process by Period after the Late Joseon Period
저자명 홍은기(Hong, Eun-Ki)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2023-01)
페이지 시작페이지(129) 총페이지(8)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주제어 건축문화재; 벽체; 외엮기; 구성방식 // Architectural heritage; the soil wall; Structure; Composition method
요약1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의 수리공사 관련 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이후 흙벽 벽체바탕 구성방식과 시기별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벽체바탕 구성방식은 중깃, 가시새, 외, 외엮기줄 등 4개의 부재로만 구성한다. 중깃은 인방의 굵기에서 재벌과 정벌층을 제외한 두께의 부재를 사용하고 상하 인방에 되맞춤으로 설치한다. 가시새는 중깃의 중간을 꿰뚫어 설치하고 좌우 주선(또는 문선)에는 홈을 파내어 설치한다. 외는 외엮기줄을 사용해 가시새와 함께 엮이며 이때 중깃에는 외엮기 줄이 엮이지 않는다. 벽의 크기에 따라 중깃이 생략되기도 한다. 둘째, 일제강점기에는 조선후기 벽체 외엮기 구성방식이 이어져 그대로 적용되었다. 셋째, 1960년대 이후 벽체 외엮기 구성방식은 국가에서 제정한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의 방식으로 변화되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중깃은 인방두께의 1/3 굵기로 사용하고 가시새와 외와 함께 모두 외엮기 줄로 엮인다. 가시새와 힘살은 생략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현재와 조선시대의 차이가 확인되는 벽체 외엮기 구성방식을 실질적인 사례와 사진, 연구자료 등을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시점을 나눠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갖을 것이다. 벽체의 외엮기방식은 과거부터 이어져오던 방식이 그대로 재사용되는 방식과 현재의 시대상에 맞춰 변형되어 시공되는 방식 등 두가지 모두 건축문화유산의 외엮기 구성방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벽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요약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mposition method of soil wall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change by period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related to repair work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il wall of late Joseon period was constructed by four members: junggit(中衿), gasisae(?), oe(?), and
a roped to wave. Jungit with thin section than total wall by first and second layer, is installed to in the upper and lower inbang(引枋).
Gasisae is installed through the middle of the junggit, and grooves are dug in the left and right a columnar line(柱?, or jamb). Oe is
woven with gasisae using rope, and at this time, rope is not woven into Junggi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all, junggit may be omitted.
Second, during the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wall struc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ontinued and
applied as it was. Third, since the 1960s,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wall structure has changed to the method of 'Cultural Heritage
Repair Standard Specification' enacted by the state. Junggit with one-third of the thickness of inbang and is woven with gasisae and oe.
Gasisae and himsal are sometimes omitted.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ll structure,
which confir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Joseon Dynasty, by dividing the time points into practical examples, photos, and
research data. Both methods of the wall should be viewed a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structure of architectural heritage, such as
the method of reuse as it has been in the past and the method of being modifi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urrent era.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on traditional walls will be conducte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목조건축물 대공과 동자주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에 관한 기능주의적 접근
김다은(Kim, Da Eun)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7 (202207)
‘숭례문 지붕형식 변경설’ 再考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전기(15~16세기) 주택건축의 특징과 변화 양상 연구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10 (201210)
조선후기 서까래 설치방식의 변화와 의미
홍병화(Hong Byung-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1 (201101)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중도리틀이 있는 우진각지붕·팔작지붕 모서리칸의 평면적 해석
곽진환(Kwak, Jin-Hwan) ;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7 (20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