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n Seoul
저자명 전주혜(Chun, Ju-Hye) ; 김지엽(Kim, Jee-Yeop)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2023-01)
페이지 시작페이지(181)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개발특성 //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Street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요약1 본 연구는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중 사업이 완료된 구역 23개소의 입지적, 건축적, 제도적 차원에서의 특성과 사업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활용성 측면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지적 특성으로는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대상지는 대부분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 입지하고 있으나,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의 사업 조건 차이 사업구역, 세대수 등 추가에 의해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다양한 용도지역에서 추진되었으며, 자율주택정비사업의 경우 인동간격, 접도조건, 대지경사가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계획적 특성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은 개발되는 건축물 용도의 차이로 인한 1층 용도, 건폐율 및 용적률, 층수, 공동이용시설 및 부대·복리시설, 세대당 주차대수 등 계획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의 경우 대상지 내 조경이나 공지가 대부분 확보되지 않았으며, 조경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 모두 완충역할로만 계획되어 오픈스페이스는 확보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에 못 미치고 있어 주차시설도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제도적 특성으로는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경우 서울시 조례에 의한 층수제한에 따라 용적률 상한 적용이 불가능하여 전반적으로 건축규제 완화를 적용받은 대상지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사업기간은 대부분 단축되었으며, 공공의 사업비 융자 지원을 받아 사업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를 통해 볼 때,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은 저층 주거지역 내 노후·불량주택의 정비를 통한 주택 공급에는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노후 저층주거지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일조 및 프라이버시 침해, 오픈스페이스 및 기반시설, 주차시설 부족 등으로 지적되고 있는데(Hong, M. & Lee, S. 2010),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역시 기존의 저층주거지역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항목이나 제도도 일부 활용이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Seoul and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To do this, 23 research sites were analyzed as site characteristics,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en implementing a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t is expected that a plan for securing
infrastructure in the block or above spatial unit is necessary. Second, it is expected that a separate incentive plan will be needed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use of buildings developed for each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Third,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supplementation of municipal ordinances related to Seoul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tems to ease construction regulations
stipulat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unoccupied house 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국내 다가구·다세대주택에 적용된 가로 접점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Kim, Hy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1 (202101)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OMA, MVRDV, SANAA에 나타난 매트-빌딩의 영향에 대한 연구
장용순(Chang Yong-S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