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보행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도심부 오픈스페이스 연결성 분석 / A Study on the Connectivity of City Center Open Space for Activating Pedestrian Network
저자명 석수진(Seok, Soo-Jin) ; 김승회(Kim, Seung-Hoy)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2023-01)
페이지 시작페이지(193)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사회적 공간; 계획 요소; 보행 네트워크; // Open Space ;Social Space; Planning Elements; Pedestrian Network
요약1 2013년 보행친화도시 선포 이후 서울시는 10년간 도심부 전역에 다양한 보행환경개선 사업들을 진행해왔다. 이러한 보행환경 개선 시도와 노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도심부에 대중교통 활성화와 동시에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도심부 보행의 양과 질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구역단위로 계획, 개발되는 도시환경정비구역은 계획단계에서부터 보행활성화를 위해 오픈스페이스와 연계한 외부 공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유도지침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도시환경정비구역 내의 오픈스페이스 연결성에 주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오픈스페이스는 주요 거점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보조거점인 동시에 도심부에 위치한 일상적인 장소로서 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보행의 지속적인 연결을 강화시키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오픈스페이스의 연결성 분석은 평면, 입체, 사회-공간으로 구분된 세 가지의 네트워크 개념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평면적, 입체적 네트워크 연결성은 높은 반면, 사회-공간 네트워크의 연결성은 낮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접촉을 기반으로 계획되어야 하는 공공공간의 목적에 관한 고려 없이 평면적이고 형태적인 계획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분석결과를 통해 추후에 진행될 도시 환경 정비 사업시 보행 네트워크를 위한 외부 공간 조성에 고려요소를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요약2 Since its self-declaration as a pedestrian-friendly city in 2013, Seoul has been conducting various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throughout the downtown area. The ultimate goal of these effort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is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lking in the city through the simultaneous installation of a public transport system and a pedestrian network. To encourage pedestrian
walking,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external spaces linked with an open space was set as a guideline during the planning stage; this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zone was planned and developed in each zone. This study aims to analyze data focusing on the connectivity
of open spaces in an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area that prioritizes activating a pedestrian network. Open space is an auxiliary base
that enhances interaction between major bases; it is also a space where social activities occur, an everyday place located in the city center
and serves as a key factor in strengthening continuous and well-connected walking. To analyze open space connectivity, three network
concepts were used: two-dimension, three-dimension and socio-Spatial. The results showed that two-dimension connectivity was high, whereas
three-dimension network and Socio-Spatial network connectivity was low. This was due to a Two-dimension formal plan being a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public space, which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contact amongst members of society. Based on
our analytical findings, important factors for consideration was suggested when creating an external space for a pedestrian network in an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사례연구
이하연(Lee, Ha-Yeon) ; 문정민(Moon, Jeong-Min)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7 No.6 (20161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피터 줌터의 작품에 나타난 재료와 빛의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김자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5(통권 88호) (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