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전이공간을 통해 본 마을형 공동체주택의 계획 특성 연구 /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Village-type Community Housing Through Transitional Space
저자명 김태은(Kim, Tae-Eun) ; 강예린(Kang, Yeri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2 (2023-02)
페이지 시작페이지(59)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공동체주택; 커뮤니티 공간; 전이공간; 공동체 활성화 // Comunity Housing; Community Space; Transitional Space; Community Revitalization
요약1 서울시의 주거정책인 ‘공동체주택’은 새로운 주거문화 제시, 다양한 생활문제의 협력, 동네 공동체의 부활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동체주택은 단일 건축물 형태로 마을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채의 공동체주택이 함께 계획되고 운영되는 마을형 공동체주택의 사례분석을 통해 공동체주택의 계획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동체 활성화와 건축계획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공동체주택의 전이공간을 구분하고 각 전이공간의 계획을 분석하였다. 1) 전면부 외부공간은 마을의 보행환경을 반영하여 각 대상지의 특성에 맞게 계획한다. 사람들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근린생활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도록 한다. 2) 공동체주택의 내부 진입은 공간의 개방 정도에 따라 계획한다. 구분된 주거 진입 동선을 통해 거주자들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3) 내부동선의 길이를 길게 계획하여 우연한 마주침의 빈도를 높인다. 4) 공유공간과 주거공간 사이에 일정 공간을 계획하여 주거공간의 영역성을 확보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던 공동체주택의 계획 특성을 도출했다는 점에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공동체주택과 다세대주택에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계획 특성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Community Housing, a housing policy of Seoul, was implemented to present a new housing culture that cooperates with various living
circumstances and revives a neighborhood community. However, most community housing has limitations in influencing a village community
in the form of a single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housing through a case
analysis of Village-type Community Housing in which several community housing units were planned and operated together.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transitional space of community housing was classified and the plan for each transitional space was analyzed. The
external space of the front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ite by reflec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a village that
created a space where people could stay and increased accessibility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The entrance to the community housing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ness of a space. The privacy of residents was secured through separate residential entrance
routes. The frequency of chance encounters could potentially increase by planning to extend the length of the internal movement line. Certain
spaces between the shared space and the residential space was planned to secure the territoriality of a residential spa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rives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housing that have not been specifically presented thus far. Based on
this study,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future community housing and multi-household
housing.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그리드체계의 변형을 통한 형태생성프로세스 연구
한상길 ; 이공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2호 (200806)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