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심형 공중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Focusing on Urban Air Mobility(UAM)
저자명 김예린(Kim, Yerin) ; 박재홍(Park, Jeaheung) ; 하슬지(Ha, Seulji) ; 황효민(Hwang, Hyomin) ; 오광석(Oh, Kwangsuek)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8 No.01 (2023-02)
페이지 시작페이지(551)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도심형 공중 모빌리티; 지상기반시설; 공간기획설계표 // Metaverse; Architectural Space Design; Urban Air Mobility; Ground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Tabl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이동성(Mobility)' 관련 분야에 대한 성장잠재력이 높게 평가받으면서 미래형 모빌리티에 대한 국내외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중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의 상용화를 위한 국가, 지자체, 기업들의 협업체계구축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시장 성장세가 기대된다. 최근 현대자동차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모빌리티 라이프에 대한 비전 소개와가상고객 경험 콘텐츠 제공을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미래형 융합 공간’인 메타버스는 사용자의경험을 확장하고,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건축공간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UAM 지상기반시설의 시각화를 위한,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 개념과 설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의 설계 대상은 UAM 실증사업 구역으로 선정된 한국해양대학교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첫째, 메타버스와 UAM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메타버스 플랫폼과 UAM 및 드론 포트(port)에 관한 사례연구를진행한다. 둘째, UAM 및 드론 포트(port) 사례분석 결과와 지상 기반 시설 유형화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공간기획설계표를 작성한다. 셋째, 공간기획 설계표와 설정된 내용에 따라 UAM 지상 기반시설 시각화를 위한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작업을 진행한 후 최종결과물을 완성한다. (결과) UAM 및 드론 관제시설, UAM 수직 이·착륙장 복합시설, 물류시설, 충전시설등의 UAM 지상기반시설을 시각화하였으며,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특성을 반영하여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결론) 도출된 결과물은 향후 UAM 상용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UAM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한 새로운 비전을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은 여러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지만, 메타버스 공간을 방문하는 아바타의 이동 동선과 사용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기존 건축 기법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점이 과제로 남는다. 하지만 메타버스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 메타버스 공간의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며연결, 창조, 확장, 체험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다는 점 등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비전을 확장할 수 있는 가상공간이 지속적으로 창조되기를 바란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growth potential for 'mobility' related field is highly evaluated, domestic and foreign interests in future mobility are growing. Among them, the full fledged market growth is expecte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countries,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urban air mobility (UAM). Recently, Hyundai Motor Group has been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virtual space to introduce its vision for a diverse and innovative mobility life and provide contents for virtual customer experience. Metaverse, a 'future convergence space', is in the spotlight as a space to promote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or present future visions as it can expand user experience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lead new possibilities based on data-driven user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and design direction for visualization of UAM ground infrastructure that can be us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virtual space by utilizing the potential of architectural space in metaverse. (Method) The targe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UAM Metaverse i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UAM demonstration project area. The proces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is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reviews on Metaverse and UAM are conducted, and case studies of metaverse platforms, UAM, and drone ports are conducted. Second, design tables of spatial plan are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f UAM/drone ports an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errestrial infrastructure typification. Third, the final result is completed after conducting the work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for visualization of UAM ground infrastructure according to design tables of spatial plan and the contents set. (Results) UAM ground infrastructure such as UAM and drone control facilities, UAM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complex facilities, logistics facilities, and charging facilities were visualized, and the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UAM metaverse was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Conclusions)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esent new visions related to UAM commercialization, industrial ecosystem creation, and UAM business model in the future.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is free to design, away from various restrictions, but the challenge remains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deviate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architectural techniques to consider the movement and use effect of avatars visiting the metaverse space. However, it is hoped that a virtual space that can share new ideas and expand its vision will continue to be creat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content by users, which is a positive element of metaverse space, and that space can be expanded.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형 공중 모빌리티 (UAM) 도입에 따른 수도권 도시공간구조 변화 예측
이종욱(Lee, Jong-Wook) ; 이재홍(Lee, Jae-Hong) ; 홍성조(Hong, Su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자율주행과 UAM이 가져올 미래 인프라 변화
박혜성; 최민지; 김태경; 정광회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미래 도시의 어반 모빌리티 플랫폼 : 사용자 공간 경험의 전환
함남혁; 김주형; 김재준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UAM(Urban Air Mobility) Vertiport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손주찬; 윤동식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41 No.1 (20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