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빈집의 보전 및 활용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요소 연구 / A Study on Factors that Make People Recognize the Value of Conserving and Utilizing a Deserted House
저자명 윤현철(Youn, Hyun-Chul) ; 류성룡(Ryoo, Seong-Lyo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2023-03)
페이지 시작페이지(53) 총페이지(9)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도시재생; 중화2동; 빈집; 보전; 활용 // Urban Regeneration; Junghwa 2-dong; deserted house; conservation; utilization
요약1 본 연구에서는 중화2동 도시재생활성화역에 있는 한 빈집에서 전시회를 개최했다. 전시회 관람객 중 58명을 대상으로 빈집과 전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응답자들이 빈집의 보전과 활용의 가치를 인식하는 요소들의 순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응답한 요소의 순위별 빈도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순위형 다중응답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요소에서는 건물 자체가 중요도가 높았다. 반면 마당, 담장 등 외부 공간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심리적인 요소로는 연령대와 무관하게 빈집에서 느껴지는 추억 때문에 보전 및 활용의 가치를 느낀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시품 중 사진, 영상, 건축 모형 등 직관적 이해가 쉬운 것들이 중요도 비율이 높았으며, 전시 공간 중요도에서는 거실을 방과 마당의 전이 공간으로 여기는 경향이 나타났다.
요약2 In this study, a deserted house exhibition was held in a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rea of Junghwa 2-dong.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regarding the deserted house and the exhibition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anking of elements that made people recognize the
value of conserving and utilizing such a house. A total of 58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method of ranke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at assigned weight to the frequency by rank of the factors from the respons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uilding itself was important as a physical factor. The importance of external
spaces such as courtyard and fence were relatively low. As for the psychological factor,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of the recollection felt in a deserted house. Among the exhibits, the importance ratio was high in the order of intuitive understanding
such as photos, videos, and architectural model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국내 지자체 빈집정비계획 수립현황 및 계획 주안점 비교 연구
은소영(Eun, Soyoung) ; 김수영(Kim, Su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7 (202307)
빈집을 이용한 소규모 노인복지시설의 실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하호진(Ha, Ho-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1 (20230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공공성 측면의 공공도서관 만족도가 주거환경 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변기동(Byun, Gidong) ; 하미경(Ha, Mik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3 (202303)
팬데믹 시대 재택근무 지원을 위한 가변형 주택 설계 연구
양현정(Yang, Hyeon-jeong) ; 김수암(Kim, Soo-Am) ; 정준수(Chung, Joon-Soo) ; 이현수(Lee, Hyun-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8 (202208)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생들의 가구 선호에 관한 연구
조현경(Hyun-Kyung Jo) ; 서지은(Ji-Eun Seo)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2 No.1 (20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