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소형가구 관점에서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공공공간의 환경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Environmental Planning Elements of Public Space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Publicness From the Perspective of Small Households
저자명 오지은(Oh, Jieun) ; 하미경(Ha, Mikyoung) ; 변기동(Byun, Gido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1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공공성; 공공공간; 소형가구; 환경계획요소 // Publicness; Public Space; Small Households; Environmental Planning Element
요약1 본 연구는 소형가구(1,2인가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현대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이 된 소형가구의 관점에서 도시 공간의 공공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살기 좋은 도시를 형성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많은 이들이 이용하는 공공공간 계획이 가장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형가구의 관점에서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공공공간의 환경계획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형가구는 현대 도시공간에서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공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성 향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은 물론 사회 전반의 수준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공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 도시에서 공공성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많이 이용하고 밀접한 도시 공공공간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의료시설, 거리공간, 교통시설, 복지시설, 정보문화시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경계획요소는 이 공간과 공공성에 대한 세부 평가요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개별 공공공간의 공공성 향상을 위한 환경계획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구조적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미래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ublicness in urban spaces from the viewpoint of small households, which are the main
household type in modern society.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in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to potentially enhance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s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residing in urban areas. Through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small
households highly value publicness and acknowledge its importance in enhanc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However, it also revealed that
publicness was not adequately maintained in such area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urban public spaces
that are commonly utilized in everyday life to improve publicness. Several public space types that small households value were identified as
being medical facilities, street spaces, transportation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and information and culture facilities.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to enhance the publicness of individual public spaces were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detailed publicness evaluation
factors such as connectivity,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amenity, placeness, sustainability, and public space typ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strategies that reflect social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s. By enhancing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s, this study expects to boost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society overall.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의 현황 고찰
남지현(Nam, Jee-Hyun) ; 조희은(Jo, Hee-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정량적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판상형ㆍ타워형 아파트 평면 특성 분석
신정은(Shin, Jeong-Eun) ; 임호균(Lim, Ho-K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리모델링과 재건축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POE) 연구
곽보윤(Kirk, Boyun) ; 이소연(Lee, So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손동화(Shon, Donghwa) ; 이예진(Lee, Ye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범죄 안전을 위한 서울시 청년 여성 1인 안심주택 연구
서민진(Seo, Min-Jin) ; 임보영(Im, Bo-Yeong) ; 강석진(Kang, Seok-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해저건축물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정원조(Jung, Won-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광주광역시 남구 경로당의 치매예방관련 프로그램 운영가능성
송명종(Song, Myung-Jong) ; 송정석(Song, Jeong-Seok) ; 이효원(Lee, Hyo-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