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의 현황 고찰 / The Current Status of Residential Facilities of Foreign Workers in Gyeonggi-do
저자명 남지현(Nam, Jee-Hyun) ; 조희은(Jo, Hee-E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27)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외국인 근로자; 농어촌; 주거시설; 주거기준 // Foreign workers; farmland and fishing villages; accommodations; residential standards
요약1 최근 외국인 근로자 거주시설에서 빈번하게 사건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농업 고용노동력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비중은 약 37%로, 장기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로환경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해 나가는 건 필수 불가결한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 및 정책검토를 통해 주거취약성 요소를 도출하고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분포 및 주거취약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거취약성 요소는 크게 건축최저기준, 입지, 생활환경, 기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건축최저기준은 비교적 세밀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생활환경 부분은 외국에 비해 아직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입지의 경우 기준은 있지만 위반시설이 48.4%로 매우 많고 지역별 편차가 큰 편이므로 위반시설이 많은 지자체에서는 관련 조례를 수립하여 시정지시 및 보완을 위한 행정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계획방식, 운영방식 등의 다변화를 통하여 거주자 요구 및 지자체 수요에 맞춰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기적 유지관리를 위해 명확한 지원 대상 파악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s laws and policies on the provision of housing for foreign workers and the status and problems of foreign workers’
accommodations in Gyeonggi province to identify the fundamental reason behind recurring accidents in rural area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a survey conducted by the Gyeonggi-do Foreigner Policy Division based on the MEL’s data on foreign workers’
accommodations compil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that was published as Residential Environment for Foreign Worker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ctual Condition Survey Results and Improvement Plan. The principles for providing workers’ accommodations stipulated
in Korean law was compared with the criteria and requirements set forth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other countries; Korean law
seemed more focused on setting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workers’ accommodations. In contrast,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dequate
housing and workers’ housing standards of other countries not only set minimum requirements, but also considered various factors that could
enhance a workers’ living, quality of life and quarantee equal treatment of foreign workers that included the demand for different types of
housing, location, access to cultural facilities, and supplementary facilities. 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and guarantee equal treatment of
foreign workers, including the demand for different types of housing, location, access to cultural facilities, and supplementary facilities. Upon
analysis of the data on foreign workers’ residential facilities in Gyeonggi Province, it was revealed that the biggest problem was where the
housing facilities were located. Around 43% or 800 sites of the foreign workers’ accommodations were built on farmland, which is a
violation of the Farmland Ac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해저건축물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정원조(Jung, Won-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소형가구 관점에서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공공공간의 환경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오지은(Oh, Jieun) ; 하미경(Ha, Mikyoung) ; 변기동(Byun, Gid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리모델링과 재건축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POE) 연구
곽보윤(Kirk, Boyun) ; 이소연(Lee, So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정량적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판상형ㆍ타워형 아파트 평면 특성 분석
신정은(Shin, Jeong-Eun) ; 임호균(Lim, Ho-K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광주광역시 남구 경로당의 치매예방관련 프로그램 운영가능성
송명종(Song, Myung-Jong) ; 송정석(Song, Jeong-Seok) ; 이효원(Lee, Hyo-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손동화(Shon, Donghwa) ; 이예진(Lee, Ye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범죄 안전을 위한 서울시 청년 여성 1인 안심주택 연구
서민진(Seo, Min-Jin) ; 임보영(Im, Bo-Yeong) ; 강석진(Kang, Seok-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민간이자지원사업을 적용한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개선에 따른 경제성 평가 연구
정유미(Jung, Ue-mee) ; 손동욱(Sohn, Dong-wook) ; 김소연(Kim So-yeon) ; 장경은(Jang Kyung-Eun) ; 박성남(Park, Sung-nam) ; 권혜인(Kwon, Hye-in) ; 문보람(Moon, Bo-ra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