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정량적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판상형ㆍ타워형 아파트 평면 특성 분석 / The Plan Characteristics of Flat and Tower Type Apartments Using Quantitative Spatial Analysis Techniques
저자명 신정은(Shin, Jeong-Eun) ; 임호균(Lim, Ho-Ky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57) 총페이지(11)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판상형 아파트; 타워형 아파트; 공간구문론; 가시성 그래프 분석; 공간 구조 // Flat Type Apartments; Tower Type Apartments; Space Syntax; Visibility Graph Analysis; Spatial Structure
요약1 국내의 가장 대중적인 주거의 형태인 아파트는 구조적으로 판상형과 타워형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두 유형을 비교하는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에너지, 일조량 등의 비교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유형의 구조적 차이를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판상형과 타워형 아파트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구성과 공간구성 별 면적비를 파악하였다. 그 후, 뎁스맵(Depthma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간구문론의 가시영역(Isovist)과 위상연계도(J-Graph), 가시통합도(Visual Integration)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간 구성적인 측면에서 판상형은 단조롭고 타워형은 다양한 구성의 특징을 보였다. 둘째, 공간 구성 별 면적비율 분석 결과, 다른 공간들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거실 면적과 관련해서는 타워형이 판상형보다 유의미하게 큰 면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시영역과 관련하여 판상형은 가시영역이 적고, 타워형은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영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상연계도 분석 결과, 판상형은 단순한 공간 구조의 타워형은 복잡한 공간 구조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시통합도 분석 결과, 판상형은 개방형 구조, 타워형은 폐쇄형 구조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공간의 위상학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판상형과 타워형 아파트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그 차이점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요약2 Apartments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form of housing in Korea and are structurally classified into flat and tower types.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comparing these two types as it relates to energy and sunligh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using space syntax and visibility graph analysis. The area ratio by spatial configura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was identified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lat and tower type apartments. After that, Isovist, J-Graph,
and visual integration of space syntax were analyzed using a Depth map.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lat
type was monotonous and the tower type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The area ratio by spatial composi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spaces, but in the living room area, the tower type had a significantly larger area than the flat type.
Concerning the Isovist, it was found that the flat type area had a few visible areas, and the tower type relatively had many visually
recognized areas. The J-Graph analysis revealed that the flat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e spatial structure while the tower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spatial structure. Finally, the visual integr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lat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open structure whereas the tower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closed structur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flat and tower type apartments using space syntax and visibility graph analysis to analyze the
topological importance of space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소형가구 관점에서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공공공간의 환경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오지은(Oh, Jieun) ; 하미경(Ha, Mikyoung) ; 변기동(Byun, Gid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의 현황 고찰
남지현(Nam, Jee-Hyun) ; 조희은(Jo, Hee-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법과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한 성능기반 공동주택 계획 방법 연구
정요한(Jeong, Yo-Han) ; 권영상(Kwon, Young-S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2 (202112)
해저건축물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정원조(Jung, Won-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리모델링과 재건축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POE) 연구
곽보윤(Kirk, Boyun) ; 이소연(Lee, So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손동화(Shon, Donghwa) ; 이예진(Lee, Ye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