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통한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 및 공간계획요소 방향 도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and the Direction of Space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oject
저자명 이정원(Lee, Jung-W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121) 총페이지(9)
ISSN 2733-6247
주제분류 환경및설비 / 계획및설계
주제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핵심요소; 공간계획요소; 고등학교; 사례분석 // Green Smart Future School; Key Elements; Space Planning Elements; High School; Case Analysis
요약1 본 연구에서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핵심요소별 추진방향 및 주요 내용들을 통해 공간계획의 요소들을 도출하고, 개축을 필요로 하는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을 통해 사업이 요구하는 공간계획요소들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부족한 부분 혹은 계획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0개 항목의 공간계획요소들을 계획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계획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시설로서의 미래 학교건축은, 계획가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요구되는 물리적 공간을 계획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환경의 변화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실내공간의 계획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의 계획, 실내·외 공간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공생 등 계획의 영역이 보다 확대되고 구체화되고 있는 시점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요약2 In this study, the space planning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main contents of each key element of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that required reconstruction, we looked at how the space planning elements
required by the project are presented, and what are lacking or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architectural plan. The space planning
elements of 10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planning cases and future planning directions were presented. Future school architecture as an
educational facility require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he digital-based learning environment, beyond simply planning and
providing the required physical space.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the time when the areas of planning, such as planning of
external spaces, linking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symbiosis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expanding and becoming more concret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김민경(Kim, Min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11 (2022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위한 건축기획 개선방안 연구
조시은; 백선경; 방재성; 고인룡; 이상민 - 연구보고서(정책) : 2021 No.04 (202112)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전기획 개선방안
김태완(Kim, Tae-Wan) ; 이경선(Lee, Kyu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5 (202305)
[ESSAY 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디자인 변화
이병호 - PERSPECTIVE IN SPACE : Vol.14 (20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