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대국민 한옥인식 및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Perception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a Hanok
저자명 김병진(Kim, Byoung-Jin) ; 신치후(Shin, Chi-Ho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143)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한옥; 한옥인식; 수요특성; 인식조사 // Hanok; Perception of Hanok; Demand Characteristics; Survey
요약1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총4회의 대국민 한옥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다. 한옥은 한국 고유의 주택 양식으로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오늘날 거주의 형태로서 자리매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10년간 대국민 한옥 인식과 수요의 특성에 관하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한옥에 대한 특성과 만족도, 그리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한옥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옥인식조사는 한옥의 인식과 이미지, 수요 및 비용, 입지 및 교통, 공간구성 및 규모를 살펴보고 있다. 이상의 분석은 전통의 가치를 넘어 시대 흐름에 따라 주거로서 현대인의 생활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 짓고 있다.
요약2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public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is a preservation
subject and unique Korean housing style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residence today due to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rends involving public perception and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were examined.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Hanok policie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Hanok.
Specifically, the Hanok Perception Survey examined the perception, image, demand, cost, location, transportation, space composition, and scale
of Hanok.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was recognized as a psychological object of tradition
and antiquity. The intention to live in a Hanok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s and cons of a Hanok that over time reflect the tendency to
value external factors as being nature-friendly.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ce of a Hanok, a living environment and space composition
capable of modern living are require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부여 고란사의 역사기록에서 본 장소성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권오영(Kwon, Oh-Young) ;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물리적 환경 변화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미기후 및 함수율 변동 양상에 관한 연구
김윤상(Kim, Yun-S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의 현황 고찰
남지현(Nam, Jee-Hyun) ; 조희은(Jo, Hee-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소형가구 관점에서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공공공간의 환경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오지은(Oh, Jieun) ; 하미경(Ha, Mikyoung) ; 변기동(Byun, Gid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손동화(Shon, Donghwa) ; 이예진(Lee, Ye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조선후기 이후 흙벽 벽체 외엮기 구성방식과 시기별 변화과정 고찰
홍은기(Hong, Eun-Ki)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1 (202301)
조선전기(15~16세기) 주택건축의 특징과 변화 양상 연구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10 (201210)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