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범죄 안전을 위한 서울시 청년 여성 1인 안심주택 연구 / A Study on the Safe Housing for Unmarried Single Women in Seoul for Crime Safety
저자명 서민진(Seo, Min-Jin) ; 임보영(Im, Bo-Yeong) ; 강석진(Kang, Seok-Ji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153)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주제어 청년 여성 1인 가구; 안심주택; 셉테드; 소규모 공동주택 // Unmarried Single Woman Households; Safe Housing; CPTED; Small-sized Multi-family Housing
요약1 본 연구는 청년 여성 1인 가구의 범죄 안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관련 사업과 범죄예방 건축기준, 안심주택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범죄예방 건축기준(53.8%)과 서울시 1인 가구 지원제도(41.2%) 모두 공적 공간의 적용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안심주택 거주민이 요구하는 것은 영역적 경계가 불명확한 반사적/반공적 공간(65.0%)의 건축적 개선임이 확인되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의 특성에 따른 한계라 볼 수 있지만, 이와 관련된 범죄예방 건축기준이나 별도의 건축적 지원(요소)의 적용이 필요하다.
요약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lated projects and safe housing case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crime safety of Unmarried Single Women
households.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revealed that the crime prevention building criteria and the Seoul single-person household support
system had the highest application rates in public spaces, with 53.8% and 41.2%, respectively. However,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residents
of women's safe housing required architectural improvements for semi-private space (65.0%), rather than public space (35.0%).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crime anxiety was particularly high in areas where territorial boundaries were unclear, such as semi-private and semi-public
spaces. The limitations of the project that supports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may contribute to this phenomenon. In addition, the study
infers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rime prevention building criteria or introduce separate architectural element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소형가구 관점에서 도시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공공공간의 환경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오지은(Oh, Jieun) ; 하미경(Ha, Mikyoung) ; 변기동(Byun, Gid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의 현황 고찰
남지현(Nam, Jee-Hyun) ; 조희은(Jo, Hee-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리모델링과 재건축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POE) 연구
곽보윤(Kirk, Boyun) ; 이소연(Lee, So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손동화(Shon, Donghwa) ; 이예진(Lee, Ye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해저건축물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정원조(Jung, Won-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정량적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판상형ㆍ타워형 아파트 평면 특성 분석
신정은(Shin, Jeong-Eun) ; 임호균(Lim, Ho-K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광주광역시 남구 경로당의 치매예방관련 프로그램 운영가능성
송명종(Song, Myung-Jong) ; 송정석(Song, Jeong-Seok) ; 이효원(Lee, Hyo-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소규모주택 정비 방안 연구
박기범(Park, Ki-Bu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6 (202306)
공간의 장소성 표현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최수영(Choi, Su Young) ; 이경훈(Lee, Kyu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6 (202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