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부여 고란사의 역사기록에서 본 장소성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Reconsidering Recognition Changes about a Sense of Place from Buyeo Goransa Buddhist Monastery's Historical Documents
저자명 권오영(Kwon, Oh-Young) ; 김영재(Kim, Young-Ja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2023-04)
페이지 시작페이지(173)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주제어 고란사; 감계주의; 감고루; 오사카 긴타로; 인식변화; 장소성 // Goransa Buddhist Monastery; Gamgyejuui; Gamgoru; Osaka Kintaro; Recognition Changes; Placeness
요약1 본 연구는 역사기록에서 부여 고란사가 등장하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를 거치면서 당시 정치 사회적 성격과 결부하여 고란사 영역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이 시기별로 다변화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전까지 작은 사찰에 불과했던 고란사는 16~18세기를 거치며 '감고루'라는 누각의 조성과 문학작품의 창작을 통해 유교적 감계주의 관점이 투영된 대표적인 장소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의 일본인들은 고란사를 고대 일본과 백제의 선린관계를 증명하는 장소로서 조작하였는데, 이것이 폐허가 된 사찰을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홍보하게 되는 큰 계기가 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역사성에 대한 문헌적 근거가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고란사의 유래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이 생산되었다. 이는 진위의 여부를 떠나 고란사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고 대중들의 관심을 유도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란사는 오랜세월 동안 건축, 인물, 사건 등과 같은 다층화된 속성 정보들이 시대별로 중첩되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유산으로서 장소성을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약2 The appearance and placeness recognition changes of the Goransa Buddhist Monastery in historic literature from Joseon to post-liberation eras
via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diversified as they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overlapping, multi-layered attributes recognized the integrated value as heritage places involving buildings, people, and events as it
relates to residence, rebuilding, and visiting the Goransa Buddhist Temple surroundings over time. The creation of the Gamgoru Pavilion
symbolized Confucianism as a means of realizing righteousness at the Monastery from the 16th to 18th centuries during the Joseon era; it
led to a new place from the descriptions of various literary works, which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historic records. Later, the Japanese
in colonial Korea manipulated and promoted the Goransa Buddhist Monastery as an explicit place to prove the good, neighborly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Japan and Baekje Dynasties. A large-scale renovation of the ruined Buddhist temple was then carried out.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various assertions and rebuttals about the temple's foundation or historic documents were raised based on
a lack of evidence. These aspects contributed to an extent in creating miscellaneous narratives of the Monastery Goransa and induced public
interest. In conclusion, the current Goransa Buddhist Temple became a reconstructed cultural product and a heritage place by superimposing
interpretations and intentions according to the times under the great symbolism of historic sites during the Baekje Kingdom.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나카무라 요시헤이의 서양건축양식의 수용과정과 그 의미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5 (201305)
해방이후 서울과 평양의 도심공간구조와 그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김영재 ; 최정환 ; 한동수 ; 동정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10 (200110)
중도리틀이 있는 우진각지붕·팔작지붕 모서리칸의 평면적 해석
곽진환(Kwak, Jin-Hwan) ;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7 (202307)
중국 고대 도성계획에서 중축선의 형성과 그 의미
김영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2(통권 제62호) (201404)
관폐대사 부여신궁의 건축적 특징에 대한 연구
권오영(Kwon, Oh-Young) ;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40 No.3 (202403)
[특집] 지속가능한 근대유산의 보존과 복원, 그리고 활용전략
김영재(Kim, Young-Jae)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2 No.03 (201803)
호서은행본점의 입지배경과 그 도시적 의미
김영재 ; 김득수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5(통권 제59호) (201310)
대국민 한옥인식 및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김병진(Kim, Byoung-Jin) ; 신치후(Shin, Chi-H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