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계측을 통한 스마트윈도우 적용 주거건물의 빛환경 및 조명에너지 분석 / Evaluation of Visual Comfort and Lighting Energy in a Residential Building Equipped with Suspended Particle Device Smart Window Based on In-situ Measurement
저자명 이수진(Lee, Soo-Jin) ; 송승영(Song, Seung-Yeo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5 (2023-05)
페이지 시작페이지(147)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환경및설비
주제어 분극입자소자 스마트윈도우; 주거건물; 빛환경; 조명에너지; 계측 // Suspended particle device smart window; Residential building; Visual comfort; Lighting energy; In-situ measurement
요약1 본 연구는 국내 주거건물에 분극소자입자 스마트윈도우를 적용하고 관련 센서 및 장비를 설치하였으며, ‘22년 7월 ~ 9월에 걸쳐 1분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휘, 실내 주광조도, 조명에너지 소비량으로 스마트윈도우 적용에 따른 빛환경의 쾌적성 및 에너지 성능을 실측하고 평가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휘 측면에서는 흐린 날의 경우 일반 윈도우 적용 실에서 현휘가 발생하지 않아 스마트윈도우 변색에 의한 현휘 제어가 불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름 낀 날과 맑은 날의 경우 변색 제어 방법과 관계없이 스마트윈도우 적용 시 항상 DGI 값이 22 이하로 나와 현휘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조도 및 조명에너지는 모든 천공 상태에서 스마트윈도우를 항상 변색하는 것보다는 변색을 제어하는 것이 100-2,000 lx의 유용한 실내 주광조도를 확보하고 조명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변색 기준값은 200 lx 또는 400 lx인 경우에 대해 효과의 차이가 근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건물에서 스마트윈도우 적용 시 해당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제어 방안을 수립해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윈도우 적용에 따른 빛환경 및 열환경의 쾌적성, 에너지 성능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visual comfort and lighting energ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smart
windows based on in-situ measurement. To this end, suspended particle device smart windows were applied to an apartment building, which
is representative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related sensors and equipment were installed, and data was collected over '22.07~09. In
addition, the evaluation items for visual comfort were set with glare and indoor daylight illuminance, and each evaluation indicator adopted
DGI (Daylight Glare Index) and UDI (Useful Daylight Illuminance).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was analyzed through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case of cloudy day, glare did not occur in the control group, so it was found that glare control by smart window
discoloration was unnecessary. In the case of partly cloudy day and the clear day, regardless of the smart window control method, the DGI
value was always below 22 when applying the smart window, which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glare control. In terms of promoting UDI
and reducing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smart window discoloration rather than always
discoloring smart windows under all sky condi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effect was not large when the discoloration
reference value was 200 lx or 400 lx.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2025년 의무화 로드맵에 따른 공공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시장 수용성
이승민(Lee, Seung-Min) ; 김진호(Kim, Jin-Ho) ; 신광수(Shin, Gwang-Su) ; 김의종(Kim, Eui-Jong)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2 No.6 (2018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사무소 건물에서 냉동기의 대수제어를 통한 냉동기 거동 특성 및 에너지 절감 효과 분석
서병모(Byeong-Mo Seo) ; 손정은(Jeong-Eun Son) ; 이광호(Kwang Ho Lee) - 설비공학논문집 : Vol.28 No.04 (201604)
창면적비와 SHGC 범위에 따른 SPD를 적용한 반응형 스마트창호의 에너지 성능 평가
고유진(Yujin Ko) ; 홍희기(Hiki Hong) ; 민준기(Joonki Min) - 설비공학논문집 : Vol.32 No.9 (202009)
IoT정보기반 Modelica-EnergyPlus Co-simulation을 통한 에너지소비량 추정
김혜진(Kim, Hye-Jin) ; 서동현(Seo, Dong-Hyun)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3 No.5 (201910)
사무소 건물에서 냉동기의 부분부하율 및 냉방 에너지 성능 특성 분석
서병모(Byeong-Mo Seo) ; 유병호(Byeong-Ho Yu) ; 이광호(Kwang-Ho Lee) - 설비공학논문집 : Vol.27 No.11 (201511)
스마트 윈도우 기술 동향 및 사례
박상훈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ol.14 No.1 (20200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전기변색 창 제어변수별 민감도 분석을 통한 주거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 효과 분석
이수진(Lee, Soo-Jin) ; 송승영(Song, Seung-Y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2 (20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