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골조 수직, 수평 측정작업 시 LiDAR 및 AR 기술 적용방안 제시 / Exploring the Combined Use of LiDAR and Augmented Reality for Enhanced Vertical and Horizontal Measurements of Structural Frames
저자명 박인애(Park, Inae) ; 김상용(Kim, Sangyong)
발행사 한국건축시공학회
수록사항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Vol.23 No.3 (2023-06)
페이지 시작페이지(273) 총페이지(12)
ISSN 15982033
주제분류 시공(적산)
주제어 골조 시공상태 점검; 라이다; 건축 정보 모델; 증강현실; 시각화 // frame construction status inspection; lidar; building information model;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요약1 건설프로젝트 진행 시 골조공사 후 시공상태를 점검하는 업무가 필수적이며, 이에 골조의 수직 및 수평 정확도를 점검하고 결함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업무방식은 점검자의 주관적 판단 및 인적오류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한 신뢰성 문제, 수작업으로 인한 인력 및 시간 소모적 문제 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골조공사 시공상태 점검 및 결과공유 과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LiDAR 및 AR 기술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LiDAR를 통해 골조의 3D Point Cloud 데이터를 취득하여 시공상태 점검에 적용하는 방안과, 점검결과 데이터를 BIM 모델에 입력 후, AR을 통해 시각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방식 대비 점검과정의 객관성, 결과공유의 신속성 및 정확도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식임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건설프로젝트 전체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요약2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combined use of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 AR(AugmentedReality) technologies during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measurem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Theintention is to enhance the quality control procedure, elevate accuracy, and curtail manual labor alongwith time expenditure. Present methods for accuracy inspection in frame construction often grapplewith reliability concerns due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he scope for human error. This researchrecommends the application of LiDAR and AR technologies to counter these issues and augment theefficiency of the inspection process, along with facilitating the dissemination of results. The suggestedtechnique involves the collection of 3D point cloud data of the frame utilizing LiDAR and leveraging thisdata for checks on construction accuracy. Furthermore, the inspection outcomes are fed into a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odel, and the results are visualized via AR. Upon juxtaposing thismethodology with the current approach, it is evident that it offers benefits in terms of objectiveinspection, speed, precise result sharing, and potential enhancements to the overall quality andproductivity of construction projects.
소장처 한국건축시공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설계요소별 영향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비개산견적 산출 시스템 개발
김준(Kim, Jun) ; 차희성(Cha, Heesu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9 No.6 (201811)
이미지 기반 기계 학습과 BIM을 활용한 자동화된 시공 진도 관리 - 합성곱 신경망 모델(CNN)과 실내측위기술, 4D BIM을 기반으로 -
노주희(Rho, Juhee) ; 박문서(Park, Moonseo) ; 이현수(Lee, Hyun-Soo)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21 No.5 (202009)
공동주택 리모델링 자동견적을 위한 DL-MCS Hybrid Expert System 개발
김준(Kim, Jun) ; 차희성(Cha, Heesu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21 No.6 (202011)
[특집]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안상로 ; 곽규성 ; 최성민 ; 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v.10 n.4(통권 제42호) (2010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외 BIM 적용 프로젝트의 BIM 적용수준 비교분석
고성훈(Koh, Sung-Hoon) ; 함남혁(Ham, Nam-Hyuk) ; 이주성(Lee, Joo-Sung) ; 윤수원(Yoon, Su-Won) ; 김재준(Kim, Jae-Jun) - 한국BIM학회 논문집 : Vol.7 No.2 (201706)
국내 건설회사 BIM 프로젝트의 사례 분석을 통한 BIM전략 수립 방안
조용현(Jo, Yong-Hyun) ; 이주성(Lee, Joo-Sung) ; 함남혁(Ham, Nam-Hyuk) ; 김재준(Kim, Jae-Jun) - 한국BIM학회 논문집 : Vol.6 No.2 (201606)
장단기기억 순환신경망 기반 콘크리트 건물 벽면 풍압계수 예측 연구
이상민(Lee, Sang Min) ; 강현구(Kang, Thomas H.-K.) -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Vol.33 No.2 (202111)
LSTM 네트워크를 활용한 콘크리트 건물의 벽면 풍압계수 예측 연구
이상민(Lee, Sang Min) ; 강현구(Kang, Thomas H.-K.) -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Vol.33 No.1 (20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