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의 장소성 표현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r Perception of the Place of Space Expression
저자명 최수영(Choi, Su Young) ; 이경훈(Lee, Kyung-H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2023-06)
페이지 시작페이지(3)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도시재생; 장소성; 지각적 체험; 사용자 인식 // Urban Regeneration; Sense of Place; Perceptual Experience; User Perception
요약1 도시재생 장소의 적극적인 개발과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 문화 및 전시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떠오르고 있다. 재생된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은 경험에 근거한 주관적 관점이 반영되기 때문에 재생된 장소에 대한 공간사용자의 인식과 평가가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및 전시 공간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방문자의 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디자인 인식을 객관적 수준에서 파악하고 논의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8개 도시재생 장소에서 디자인 인식에 관하여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역사적 상징에 의한 장소성 : 스토리텔링에 대한 디자인 인식, 오브제? 물질에 의한 장소성 : 재료, 물성에 대한 디자인 인식, 동선·시선처리에 의한 장소성: 몸의 움직임에 의한 디자인 인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방문한 도시재생 장소가 그 장소만의 개성적이고 독특한 과거의 역사나 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잘 활용했다고 느낄 요소가 시각적, 촉각적, 그리로 몸의 움직임등의 요소가 다양하게 적용된 도시재생 장소에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매력적인 형태의 조형, 심미성 등의 인공물 등의 요인이 방문자에게 매력적인 공간 요소로 인식된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요약2 A plan, to utilize active development and image improvement of urban regeneration places as cultural and exhibition spaces, has emerged. A
user'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a reproduced space reflects a subjective viewpoint based on experienc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nd discuss the design perception of visitors regarding the sense of space at an objective level while
focusing on urban regeneration cases involving cultural and exhibition space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a sense of place through cultural
and historical symbols derived from design recognition for storytelling. The sense of place by objects and materials was derived from design
recognition of materials and properties. The importance of design recognition by body movement was derived from the sense of place that
processed movement and gaze. These rediscovered features exhibit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of urban regeneration sites where
visual, tactile, and body movement elements were applied. These factors suggest that attractive shapes and artifacts such as aesthetics can be
perceived as attractive spatial elements by visitor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도시형 공유주거에 대한 세대별 인식과 요구 특성 분석
주운수(Zhou, Yunxiu) ; 이소연(Lee, Soyeon) ; 김영주(Kim, Youngj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6 (2023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교수학습 과정 설계를 통한 미래형 학습공간 계획 연구
이윤서(Lee, Yoonseo) ; 김지혜(Kim, Ji-Hye) ; 신은경(Shin, Eun Gy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6 (2023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