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교수학습 과정 설계를 통한 미래형 학습공간 계획 연구 / Planning Futuristic Learning Space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Design
저자명 이윤서(Lee, Yoonseo) ; 김지혜(Kim, Ji-Hye) ; 신은경(Shin, Eun Gyeo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2023-06)
페이지 시작페이지(1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교수학습 공간; 사용자 주도 설계; 그린 스마트 스쿨; 미래 학교 공간 // Teaching and Learning Space; User Directed Design; Green Smart School; Future School Space
요약1 본 연구는 미래의 교수학습 과정 운영에 필요한 단위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향후 학교공간의 계획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거쳤다. 먼저, 총 58개로 교수 학습활동을 유형화하였고, 58개 유형을 크게 ‘자료 수집 및 활용, 도구적 탐색 및 실험, 표현활동, 놀이하기, 토론하기, 공연하기’의 6개 대분류 항목으로 구분, 소요 단위공간 모듈을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54명)들에게 미래 교수학습 과정의 설계와 이를 위한 단위공간의 조합과 개선을 요청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에게 취합된 계획안을 분석하여, 미래형 학습공간의 계획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규모의 교실 연계 배치, 다기능 단위교실을 통한 융합 활동의 지원, 학습공간과 지원공간 경계의 유연화, 디지털·AI 교육환경 조성의 4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 단위, 교육청 단위, 국가 단위에서 실행 가능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를 실제로 사용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미래 교수학습과정과 이에 적합한 학습공간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unit spaces necessary for facilitating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dditionally, it seeks to propose guidelines for future school space planning and policy implications. The activities outlin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58 activity types that were further grouped into six categories: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instrumental exploration and experiment, expression activity, playing, discussion, and performing. Subsequently,
drawings of unit spaces suitable for each activity type were creat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designs, feedback was obtained
from 54 gifted education teachers who actively engaged in designing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o refine and improve the unit
spaces for optimal function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s provided by the teachers, four key planning directions for futuristic
learning spaces emerged: connecting classrooms of various sizes, supporting convergence activities through multi-functional unit classrooms,
fostering flexibility in the boundary between learning spaces and support spaces, and creating a digital/AI educational environment.
Furthermor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implementing policies at the school, local education office, and national levels. This study
proposed a futurist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long with a well-suited learning space design based on the invaluable insights of teachers
who actively utilize such learning spac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설계요소별 영향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비개산견적 산출 시스템 개발
김준(Kim, Jun) ; 차희성(Cha, Heesu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9 No.6 (2018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김민경(Kim, Min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11 (202211)
공간의 장소성 표현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최수영(Choi, Su Young) ; 이경훈(Lee, Kyu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6 (202306)
공동주택 리모델링 자동견적을 위한 DL-MCS Hybrid Expert System 개발
김준(Kim, Jun) ; 차희성(Cha, Heesu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21 No.6 (20201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전기획 개선방안
김태완(Kim, Tae-Wan) ; 이경선(Lee, Kyu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5 (202305)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신도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 설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문선민(Mun, Sun-Min) ; 이선영(Rieh, Sun-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7 (20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