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이토 도요(Toyo Ito)의 공공건축물에 나타나는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by Toyo Ito
저자명 박예지(Park, Ye-Gee) ; 이원석(Lee, Wonsho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2023-06)
페이지 시작페이지(9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이토 도요; 경계; 모호성; 공공시설 // Toyo Ito; Boundary; Ambiguity; Public Institutions
요약1 본 연구는 경계의 모호성을 통해 이토 도요의 공공기관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2013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 건축가 이토 도요(Toyo Ito)는 공공 기관이 단순히 건물의 목적을 위한 공간을 넘어 시민들이 자유롭게 모여 휴식을 취하는 동시에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공간이 가지는 기능, 효율보다 사용자들의 동선에 대한 자유와 소통가능성에 집중한다. 이토 도요는 공간에 자율성을 주고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자연에서 느낄 수 있는 모호한 질서를 적용하고, 관련된 개념을 책과 전시회에 꾸준히 주장해왔다. 그의 개념은 Blurring Achitecture, Emerging Grid, 내외부 경계 흐리기이다. 이러한 개념을 통해 이토 도요의 공공기관 내부의 공간구성은 그리드와 구조요소의 변화를 통해 발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계 요소들은 자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해체의 방식을 보이며 물리적, 인지적 경계의 모호성을 드러낸다. 경계의 모호성은 프로그램을 중첩시키고 간섭을 통해 새로운 상호작용을 만들어 낸다. 그의 건축물은 단순한 공용공간보다 상호작용을 위한 유동적이고 흐릿한 특징을 보인다. 모호한 경계를 가진 공간들은 현대시대의 다원화와 네트워크화를 건축화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attributes of Toyo Ito’s public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concept of boundary ambiguity. Toyo Ito, a
renowned Japanese architect, and recipient of the 2013 Pritzker Prize, argues that public institutions should not merely serve as functional
spaces, but rather as environments where citizens can freely gather, relax, and forge new communities. He emphasizes the freedom of user
movement and the potential for communication, prioritizing these over strict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Toyo Ito consistently advocates for a
sense of freedom and ambiguous order, inspired by the natural world, to grant autonomy to spaces and enhance communication. His
architectural concepts encompass Blurring Architecture, Emerging Grid, and the merging of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ies. Through these
concepts, it becomes evident that Toyo Ito’s spatial compositions within public institutions evolve through shifts in grids and structural
elements. Furthermore, boundary elements undergo various forms of deconstruction that align with natural characteristics, revealing the
ambiguity of physical and cognitive boundaries. These ambiguous boundaries create overlaps in programming and foster new interactions
through interferences. Instead of conventional public spaces, Toyo Ito’s architecture features fluid, blurry, and ambiguous boundaries, designed
to encourage interaction. This can be seen as a pioneering endeavor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a new er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발레리오 올지아티의 비참조적 건축에 관한 연구
마승범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3호 (20210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