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설계사의 설계 안전성 검토 (DfS) : 인식 현황과 업무 수행을 위한 필요 역량 분석 / Architects’ Perception and Required Competenc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Design for Safety (DfS)
저자명 서원경(Seo, Wonkyoung) ; 차유나(Cha, Yu-na) ; 강영철(Kang, Youngcheol)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2023-06)
페이지 시작페이지(253) 총페이지(11)
ISSN 2733-6247
주제분류 법규(제도,정책)
주제어 설계안전성검토; 설계사; 중대재해처벌법; 안전관리; 안전 설계; 사고 예방 // Design for Safety; Architect;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afety Management; Safety Design; Accident Prevention
요약1 본 연구에서는 설계 안전성 검토 (DfS)에 대한 설계사의 인식 및 업무 수행을 위한 필요 역량을 분석하였다.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 안전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최근 안전 사고를 시공 전단전단계부터 예방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설계 안전성 검토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안전성 검토의 주체가 될 설계사들이 이러한 설계 안전성 검토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또 이러한 인식이 중대재해법 전후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설계사들의 설계 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설계 안전성 검토 지침을 참고하여 설계사들에게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설계사들이 설계 안전성 검토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요약2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chitects' perception of Design for Safety (Df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and analyz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m to effectively implement Df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witnessed an
increasing demand for safety management since the enforcement of this Act. By considering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right from the
design phase, acciden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However, the current knowledge lakcs an understanding of how architects’ perception of
DfS changes after the Act and what specific competencies they need to posses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identifies the necessary competencies through the DfS work manual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t
surveys architects to gauge their perception of these competencies and assesses the perceived difficulty level associated with each o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hat enable architects to effectively adopt DfS and fulfill the
competencies required its implement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지원 시스템 개발
신원상(Shin, Won-Sang) ; 손창백(Son, Chang-Bae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09 (202009)
[특집] 설계안전성 검토(DfS) 제도현황 및 개선 방안
신주열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0 No.1 (201902)
[특집] 발주자의 안전책무 강화와 DFS(설계안전성검토)의 효과적인 이행방안
김용구(Kim, Yong-Gu)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2 No.12 (201812)
국내 대형 건설회사의 안전관리 수준 향상방안
정현용(Jeong, Hyun-yong) ; 신원상(Shin, Won-Sang) ; 손창백(Son, Chang-Bae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3 (202303)
중·소규모 건설회사의 시공능력순위별 안전관리수준 분석 및 향상방안
신원상(Shin, Won-Sang) ; 정현용(Jeong, Hyun-yong) ; 이준용(Lee, Jun-Yong) ; 손창백(Son, Chang-Bae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3 (202303)
건설프로젝트의 설계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신원상(Shin, Won-Sang); 손창백(Son, Chang-Baek);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ol.19 No.4 (201908)
건설 프로젝트의 재해영향요인 기반 위험성 평가방법
유용신(Yu, Yong-Sin) ; 최재욱(Choi, Jae-Wook) ; 김태완(Kim, Tae-Wan) ; 이찬식(Lee, Chans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06 (201906)
건설현장사고의 공종별 위험요소 분석 및 재발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허준규(Heo Jun Kue) ; 최미르(Choi Mi Reu) ; 오광진(Oh Kwang Chin) ; 신주열(Shin Ju Yeoul)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Vol.1 No.1 (201806)
설계의 안전성 검토(DFS)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단위작업별 재해위험성 평가
김진원(Kim, Jin-Won) ; 김재준(Kim, Jae-J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4 No.06 (20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