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틀을 통해 본 도시 및 근린주구 단위의 지속 가능한 개발 요건 / Fac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Cities and Neighborhoods through the Frame of Social Sustainability
저자명 윤효원(Yoon, Hyo-Won) ; 이상희(Lee, Sang Hee) ; 이선영(Rieh, Sun-Yo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7 (2023-07)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11)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사회적 지속가능성;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도시 및 근린주구; LEED; BREEAM // Social sustainability; UN SDGs; Cities and Communities; LEED; BREEAM
요약1 지속 가능한 발전은 그동안 환경적 맥락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나 최근에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 가능성의 세 가지 범주가 지속 가능한 개발의 동등한 축으로 발전되었다. 그 중 사회적 지속 가능성은 환경적, 경제적 지속 가능성과 달리 그 범위가 넓고 성별, 사회적 평등, 정치 참여 등 이해관계자 간의 다양한 상충 요소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지역적 맥락에서 수용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및 근린주구 단위 개발에서 사회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UNSDGs, OECD, WHO 등 국제기구에서 추구하는 사회적 지속 가능성의 목표, 지침, 평가 도구를 검토하여 분석의 프레임을 형성하였고, 이 프레임을 통해 최근 개발된 도시 및 근린 지구 환경 평가 시스템에서 도출된 평가 요소를 분석하여 도시 및 근린주구 단위에서 사회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보편적이고 일관된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시환경 측면에서 국제기구가 추구하는 사회적 지속 가능성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 '사회활동 환경', '개인의 심리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분류에 따라 LEED 및 BREEAM과 같은 글로벌 환경 평가 시스템에서의 사회적 지속 가능성의 특성을 살펴보면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형평성, 공동체감, 포괄성, 장소감(locality) 등이 사회적 지속 가능성의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된다.
요약2 Sustainable development was initial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 but as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recently emerged,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have developed into three pilla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ocial sustainability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various conflicting elements among stakeholders and clear and specific standards are needed
to be accepted in the local context. In order to set clear and specific standards for social sustainability in urban and neighborhood
development, this study reviews goals, guidelines, and assessment tools of social sustainability pursu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SDGs, OECD, and WHO to form a frame for analysis and common elements of social sustainability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frame,
assessment factors drawn from the recently developed global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for cities and neighborhoods are analyzed and
it was possible to find similarities and consistent features for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scale of urban and neighborhood. Social sustainability
pursu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urban environment could be identified as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social
activity environment’, and ‘personal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hrough this frame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stainability derived from global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s such as LEED and BREEAM at the level of neighborhoods and
communities. As a result, key features of social sustainability such as accessibility, safety, amenity, equity, sense of community, inclusivity,
and sense of place (locality) are drawn as critical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LEED-Cities & Communities, LEED-ND, and BREEAMCommuniti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신도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 설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문선민(Mun, Sun-Min) ; 이선영(Rieh, Sun-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7 (202307)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원료 배합에 따른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 클링커의 성분 및 상 분석
이향선(Lee, Hyang-Sun) ; 송훈(Song, Hun)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ol.22 No.3 (202206)
고령사회 노인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윤효원(Yoon, Hyo-Won) ; 이선영(Rieh, Sun-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1 (202011)
도시형 소규모 학교에서의 선호공간에 관한 연구
이선영(Rieh Sun-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여성 주거에 대한 해외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장진하(Jang, Jin-Ha) ; 남진(Nam, 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7 (202307)
경기도 외국인 근로자 주거시설의 현황 고찰
남지현(Nam, Jee-Hyun) ; 조희은(Jo, Hee-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