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건축의 석축형기단과 경사지 조정 / Stylobate on Stoneterrace as a Method of Slope Adjustment in Korean Architecture
저자명 주현태(Joo, HyunTae) ; 전봉희(Jeon, BongHe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7 (2023-07)
페이지 시작페이지(14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주제어 한국건축; 기단; 석축; 석축형기단; 지형조정; 외부공간 // Korean Architecture; Stylobate; Stone terrace; Stylobate on Stone terrace; Adjusting the topography; Exterior space
요약1 이 연구에서는 한국건축에서 경사지를 극복하는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단과 석축을 지형조정의 차원에서 새롭게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대상 315동을 조사하여 이 둘의 조합방식을 검토해보면 기단의 입면과 석축의 면이 결합한 형태가 지배적으로 발견되는데, 이를 ‘석축형기단’으로 칭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경사지를 조성할 때 기단을 석축의 수직면까지 극단적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석축형기단은 석축의 높이를 이용하여 만나는 하나의 면을 생략하고 간단하게 배수로를 구축하여 해결하거나, 낮은 단 혹은 단 자체를 생략할 수 있는 융통성이 생긴다. 이와 더불어 경사지 조정과 기단을 쌓는 단계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석축형기단은 기단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석축의 폭은 건물의 처마 내밀기에 결정되어 경사를 조정할 때, 건물 주변의 층단의 지점을 결정짓는 일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높낮이는 경사에 따라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폭은 건물의 규모와 상관 관계를 가진다. 즉, 석축형기단은 목조건축물에 반드시 기단이 구축되어야 하는 특징이 반영된 독특한 형태로 해석된다. 석축형기단은 기단의 기능을 겸하면서 높이차를 활용하여 공간구성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이 있다. 이동의 제약이 되는 벽면을 오히려 높이차를 활용하여 성격이 다른 영역을 분절할 수 있는 융통성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중심영역에 본격적으로 개입하여 공간의 복잡성을 만들고 하나의 배치 논리로 설명이 되지 않는 입지에 따라 고유한 공간을 만들게 하였다. 특히 석축형기단은 해당 연구 대상에 한정하여 고려중기 무렵에 출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6C 이후 부터는 초창되는 건물군부터 석축형기단이 지배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볼 때, 석축형기단으로 대지를 조성하는 방식은 외부공간과 건물과의 관계를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유행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2 In this study, stylobate and stone terrace were categorized in terms of topography adjustment to analyze their time-periodic characteristic and
distribution of building use. The purpose of this categorization was to apply the drawn conclusion to the layout composition and comprehend
the meaning of its application. To attain this particular purpose, 236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sites and 78 ruined temple site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integrating stone terrace and stylobate in the mid-Goryeo dynasty was identified. This integrated
form was universally used throughout mid-Goryeo regardless of the building use. The usage of the stylobate was different between the central
building and the independent building, and the integrated stylobate on the stone terrace was mainly used in the central building. The reason
for this seemed to be caused by the stratification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placing it on a slope. Subsequently, the form of land
composition was further diversified due to functional factors and arrangement order, and thus stylobate on the stone terrace was used as the
means of space composi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그리드체계의 변형을 통한 형태생성프로세스 연구
한상길 ; 이공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2호 (200806)
투상도법을 이용한 건축디자인의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박현수(Park Hyeon-Soo) ; 심은주(Shim E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6 (200406)
건축대전 작품분석을 통해 본 건축형태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
구본덕 ; 유희준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4 n.2 (1988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단면 구성을 통한 공간 내부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임종엽 ; 이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6(통권 53호) (200512)
[논문] 쿤스트할 뮤지엄의 미적체험
김민제 - 한국박물관건축학회 논문집 : 창간호 (199811)
수치분석을 통한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과 단면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도경(Kim, Do-K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5 (201405)
존 헤이덕 건축에서 ‘메두사의 가면’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종건(Lee, Jong-Keun) ; 김수현(KimSoo-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1 (201201)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