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관폐대사 부여신궁의 건축적 특징에 대한 연구 / Exploring the Architectural Desig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Buyeo Grand Shrine
저자명 권오영(Kwon, Oh-Young) ; 김영재(Kim, Young-Ja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3 (2024-03)
페이지 시작페이지(14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관폐대사 부여신궁; 제한도; 이토 츄타; 스나미 타카시; 오에 신타로; 대만신궁; 쇼와즈쿠리; 조선식 사전(社殿) // Buyeo Grand Shrine; Seigenzu; Ito Chuta; Sunami Takasi; Ooe Shintaro; Taiwan Grand Shrine; Showazukuri style; Joseon-style
요약1 본 논문은 일본 신사로서는 최고의 사격을 자랑하였던 관폐대사 부여신궁의 건축적 특징(특히 건축 배치와 구성)이 출현하게 된 배경에 대한 연구이다. 일제는 1930년대 말부터 기원 2,600년을 기념하기 위한 사업으로, 충남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에 부여신궁의 건립을 추진하였다. 당초 그들은 1943년 완공을 목표하고 물자와 인력을 대대적으로 투입하려는 노력을 지속하였지만, 전쟁으로 인한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1945년 패망 이전까지 부여신궁은 완공되지 못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여신궁은 양식적인 측면에 있어서 1930년대 중반 이후의 일본 신사 건축의 영향을 받아 설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1930년대 중반 이후 스나미 타카시로 대표되는 관료 기술자들은 국내외 각지의 신사 건축에 있어서 기능성(신쇼쿠의 일상적 봉사와 제사를 원활히 하고, 대중의 참배를 원활히 함)을 중요시하는 쇼와죠 양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는데, 이는 신전과 배전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익랑이 연결하는 이 방식은 모모야마와 가마쿠라시대 불교사원에서 유행했던 침전조 양식을 도입하여 표준 건축으로 제안했던 것이다. 부여신궁은 동시기 건립이 추진되었던 동일한 사격의 대만신궁과도 그 배치나 건축 양식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요약2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behind the architectural features, especially the layout and composition, of the Buyeo Grand Shrine,
renowned for its exceptional design among Japanese shrines. In the late 1930s, Japan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the Buyeo Grand Shrine
on Busosan Mount as a commemorative project 2,600 years ago. Originally slated for completion in 1943, Japan invested significant resources
in materials and labor. However, due to challenges in fundraising amid World War Two, the Shrine remained unfinished until Japan's defeat
in 1945.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Buyeo Grand Shrine was influenced by Japanese shrine styles from the
mid-1930s. Bureaucratic engineers like Takashi Sunami actively introduced the Showa-jo style, prioritizing functionality to accommodate daily
services, ancestral rites, and public worship. This approach involved connecting corridor transep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prayer recital
and worship halls in the middle, inspired by the shinden style that arranged a group of buildings symmetrically, which was popular in
Buddhist temples during the Momoyama and Kamakura periods. The layout and style of the Buyeo Grand Shrine resembled those of the
Taiwan Grand Shrine, which held similar prominence among Japanese shrines during that era. This suggests a standardized architectural
approach adopted by Japan for grand shrines during the era, reflecting the nation's architectural innovations and its religious and cultural
aspiration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중국 고대 도성계획에서 중축선의 형성과 그 의미
김영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2(통권 제62호) (201404)
나카무라 요시헤이의 서양건축양식의 수용과정과 그 의미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5 (201305)
해방이후 서울과 평양의 도심공간구조와 그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김영재 ; 최정환 ; 한동수 ; 동정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10 (200110)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논문] 팔작지붕과 북한의 현대 조선식 건축: 선택과 배제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2(통권 123호) (201904)
[자료] 기념물과 사적지의 보존, 복원을 위한 국제헌장(베니스헌장) 1964
박소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1(통권 56호) (200802)
석고전(石鼓殿)의 마지막 이건과 소멸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4 (201504)
[논문] 도시형한옥 주거지의 블록구획과 주거평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우근 ; 서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2 n.3(통권 88호) (201306)
부여 고란사의 역사기록에서 본 장소성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권오영(Kwon, Oh-Young) ;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9 No.4 (202304)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