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제주도 전통민가 형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 / 남방적 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Domestic Vernacular Houses in Cheju Island
저자명 정영철 ; 이해성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7 n.3 (1991-06)
페이지 시작페이지(113) 총페이지(12)
ISSN 12251674
주제분류 역사
요약1 제주도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정신문화에 있어서도 육지와 다르며 문화접촉이 뒤늦게 이루어짐으로 인해 독특한 민가를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위치로 보아 대륙의 북방 및 중국의 문화 그리고 흑조를 통한 남방문화가 전파되었고 또 이 양방면으로부터 수용된 문화가 결합되어 제주 민가형식을 이룬 듯하다. 본고에서는 여러 학문의 연구를 원용하여 제주도 문화의 남방적 요소를 찾음으로써 제주민가에서 남방적 요소를 고구하는 것의 타당성을 설정하고, 전통민가의 발생과 변천과정, 그리고 배치 및 평면구성에 있어서의 남방적 요소를 찾으며 그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주도 전통민가는 원래 남방 해반도서적 계통의 것으로 한반도의 영향을 받기 이전에 이미 독자적인 주거를 형성하였고 그 이후의 한반도 및 원의 문화접촉에 의해 독특한 민가형을 이룬 듯하다. 제주도 민가의 정지의 솥걸이 형태, 토좌식 생활에서 마루방으로 변한 상방, 챗방과 고팡의 고상식 구조, 뒷간과 돈사의 미분리, 평면이 횡분할 뒤에 종분할 되는 것 등은 모두 남방문화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즉 제주도 민가는 남방 해양도서적 계통의 것으로 독자적 주거유형이 형성된 뒤에 대륙, 한반도로부터 온돌이나 마루의 기능등이 유입되어 독특한 민가형을 형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2 Because of its geographical location of island in the sea, the Cheju Island has had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some areas in northern continent, Korean Peninsular and in southern islands since the prehistoric age.The vernacular houses in Cheju Island were shaped a unique house type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rn and northern culture.This paper has endeavored to reaearch the formation of the folk houses,and the characteristic focused on the southern cultural element in vernacular houses. The vernacular houses in Cheju Island formed a southern character houses originally. The inside structure of kitchen and wooden floor(sangbang) would be the elements of the southern culture, which were transmitted through sea route, But they were influenced gradually to the culture of the Korean Penisular from the north.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요지] 제주 전통민가의 특성요소 조합을 통한 제주 현대주택계획 가능성에 관한 연구
장창민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논문] 제주의 지역주의 건축
양상호 ; 박순관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8 n.6(통권 67호) (2009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논문초록] 제주도 전통민가의 공간적 특징 및 의미에 관한 연구 :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정영길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 n.1 (1992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제주 전통건축 공간과 조형의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정은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5권 2호 (201311)